제3연륙교 오는 2025년 개통 순항

인천 영종-청라를 잇는 제3연륙교의 오는 2025년 개통이 순항할 전망이다. 54개월의 제3연륙교 공사기간 산정이 적정하다는 평가가 나왔기 때문이다.

13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최근 열린 제12회 지방건설기술심의위원회에서 제3연륙교의 공사기간 산정의 적정성 심의를 했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제3연륙교의 공사기간을 54개월로 산정했다.

앞서 인천경제청은 제3연륙교를 해상교량 공사인 2개 공구(본공사)와 1개 부대공사(기타공사)로 나눈 상태다. 54개월의 공사기간은 이중 본공사 2개 공구의 공사기간이다.

이날 심의위는 인천경제청이 산정한 공사기간에 대해 ‘조건부 적정’ 판정을 했다. 인천경제청이 계획 중인 오는 2021년 7월께 본공사 착공과 2025년 12월께 준공 모두 가능하다고 본 것이다.

이와 함께 심의위는 경제청이 기타공사로 분류한 부대공사의 공사기간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부대공사는 제3연륙교 공사를 위한 물량장과 진입도로 등을 건설하는 공사로 사실상 제3연륙교 사업에 속하지만, 이번 심의에 올린 54개월에는 포함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인천경제청이 산정한 부대공사의 공사기간은 6개월로 오는 12월 착공 예정이다. 부대공사기간 6개월까지 포함하면 제3연륙교의 전체 공사기간은 60개월로 늘어난다.

다만, 심의위는 약 45건의 검토 요청 사항을 조건으로 제시, 인천경제청에 보완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진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2025년 12월 준공이라는 경제청의 계획이 적절하다는 것이 이번 심의 결과”라며 “보완을 요청한 것도 공사기간이 늘어날 부분은 아니지만 2025년 준공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어 “부대공사를 이번에 올리지 않은 것은 공사를 분할해 발주하기 때문”이라면서도 “심의위원의 질의에 따라 6개월 공사기간에 대해 설명했고 위원회도 충분히 이해했다”고 했다.

한편, 제3연륙교는 시점인 중구 중산동과 종점인 서구 청라동을 연결하는 길이 4.66㎞, 폭 29m(6차로+자전거도로·보도) 규모로 지어질 예정이다. 사업비는 당초 5천억원에서 현재 6천800억원으로 늘었으며, 늘어난 사업비를 두고 인천경제청과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협의를 하고 있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