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수도권을 중심으로 재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불법 노점상을 철거하거나 영업을 중단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부분 ‘현금 영업’을 하는 노점상의 특성상 코로나 확진자의 동선이 잡히지 않을 가능성이 크고, 일반 상점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위생 상태도 떨어져 코로나 재확산의 또다른 ‘사각지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16일 통계청과 도내 노점상 상인 등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도내 노점상 수는 3천400여개다. 이들은 별도의 상점을 갖추지 않은 채 도로변 등에서 간이 시설을 차리고 영업을 이어나가고 있다. 또 영업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대다수 노점상은 고객들에게 현금만 받고 있다.
실제로 이날 찾은 김포 한강신도시 구래역 인근에는 붕어빵과 옥수수, 과자 등을 파는 노점상 10여개가 밀집해 있었다. 이들 노점상은 모두 현금만 받아 자칫 발생할 수 있는 확진자의 동선 파악이 사실상 어려웠고, 손소독제 등 위생용품이 비치된 곳은 찾아볼 수 없는 등 방역에 취약한 모습이었다.
안산 상록수역 인근 노점상도 상황은 비슷했다. 이날 영업 중인 5곳의 노점상에는 손소독제가 비치된 곳은 없었으며,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상인의 모습도 포착됐다. 마찬가지로 카드 결제는 거부했다.
이와 같은 영업 방식 탓에 노점상이 코로나19 사태 속 ‘또 다른 사각지대’로 부각되며, 자칫 ‘방역 구멍’이 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구래역 인근에 거주하는 A씨는 “코로나19 확진자 동선을 추적할 때 카드 사용 내역 등을 활용한다고 하는데 노점상은 누락되는 것 아니냐”며 “불법 시설인 만큼 이번 코로나 사태를 맞아 철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산시 상록수역 인근에 사는 B씨도 “위생상태가 일반 음식점에 비해 열악하다”면서 “자칫 또 다른 집단 감염 발원지가 되는 걸 막기 위해선 영업 중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경기도민 청원에는 코로나19 감염에 취약한 불법 노점상을 철거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글이 올라와 현재까지 100여명의 동의를 얻었다.
다만 이 같은 주장에 대해 노점상들은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이날 김포서 만난 노점상인 C씨는 “야외영업이기 때문에 오히려 실내보다 코로나 감염 우려가 적을 것”이라며 “우리도 영세상인이고 코로나19 사태로 매출이 반 토막 나 정말 힘든 상황”이라고 호소했다.
안산에서 노점상을 운영하는 D씨도 “우리도 영업 종료 이후 소독을 실시하는 등 나름의 방역을 하고 있다”고 항변했다.
이에 대해 김포시 관계자는 “노점상은 등록된 업소가 아닌 경우가 많다 보니 방역수칙을 강요하긴 어렵다”면서 “대대적인 불법 노점상 단속을 통해 관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태희ㆍ손원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