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규제지역 묶인 경기도… 강도높은 규제에 ‘당혹’

17일 정부가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추가 부동산대책을 통해 파주, 연천 등 일부 접경 지역을 제외한 경기도 전체를 신규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하고 수원‚ 성남수정‚ 안양‚ 안산 단원‚ 구리‚ 군포‚ 의왕‚ 용인 수지•기흥‚ 화성(동탄2)을 투기과열지구로 신규 지정했다. 사진은 수원 영통구 일대 아파트단지. 윤원규 기자
17일 정부가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추가 부동산대책을 통해 파주, 연천 등 일부 접경 지역을 제외한 경기도 전체를 신규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하고 수원‚ 성남수정‚ 안양‚ 안산 단원‚ 구리‚ 군포‚ 의왕‚ 용인 수지•기흥‚ 화성(동탄2)을 투기과열지구로 신규 지정했다. 사진은 수원 영통구 일대 아파트단지. 윤원규 기자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대책으로 경기지역 대부분이 규제지역으로 묶인 가운데 도내 부동산 시장이 술렁이고 있다. 어느 정도의 규제가 이뤄질 것이라고 예상은 했지만, 생각보다 높은 강도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분위기다.

정부는 17일 연천과 포천, 가평, 동두천 등 접경지역을 제외한 경기지역 대부분을 조정대상지역으로 추가 지정하기로 했다. 특히 수원과 안양 등 집값 상승세가 가파른 일부 지역은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다.

이에 지역 부동산 업계에서는 예상은 하고 있었지만, 생각보다 강도 높은 규제에 우려의 목소리가 섞여 나오고 있다.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안양시 호계동의 H공인중개사 대표는 “8월 분양권 전매 제한 시행을 앞두고 최근 거래가 활발히 이어졌지만, 추가 부동산 대책이 예고된 이주 초부터 거래는커녕 문의도 뚝 끊겼다”라며 “이번 규제로 당분간 거래가 묶일 수는 있겠지만, 가격 형성이 어느 정도 이뤄져 집값은 크게 변동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수원시 원천동의 J공인중개사 대표 역시 “잠시나마 집값 안정세가 이어지긴 하겠지만, 매번 그랬던 것처럼 장기적으로 봤을 땐 효과가 있을지 의문이 든다”면서 “오히려 거래만 줄어 지역 부동산 시장이 침체 되는 건 아닌지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조정대상지역으로 편입된 양주시 옥정동의 Y 공인중개사 대표는 “수용성 규제 이후 풍선효과로 투자 수요가 양주지역으로 갑자기 몰려 불안 조짐이 있기는 했다”며 “반신반의했지만 정말로 양주까지 규제 대상이 될 줄은 몰랐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대출받기가 어려워진 만큼 사회 초년생이나 신혼부부는 내 집 장만이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걱정도 있다.

하반기 실거주용 아파트 장만을 계획했다는 김영혁씨(35ㆍ수원 세류동)는 “거듭되는 정부의 부동산 대책으로 각종 정책이 변경돼 너무 혼란스럽다”라며 “당장은 아파트 가격이 안정되고, 청약 경쟁률도 낮아질 수 있겠지만 매매 또는 청약에 당첨되더라도 대출 조건이 까다로워져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룰 수 있을지 걱정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연구실장은 “이번 정부의 부동산 대책은 투기수요를 무조건 잡겠다는 현 정부의 의지를 다시 한 번 확인시켜준 것”이라며 “다만 규제가 또 다른 규제를 낳는 양상으로 흐르는 점은 우려스럽다”고 평가했다. 이어 “시장에 수요가 넘치는 상황에서 언제까지나 규제로 틀어막고만 있을 순 없다”며 “반복되는 규제는 시장의 불확실성만 키울 것”이라고 우려했다.

홍완식ㆍ김태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