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대] 李지사 대법 판결, 도민 안전 달렸다

이호준 정치부 차장 hojun@kyeonggi.com
기자페이지

▶지난 16일 북한이 판문점 선언의 후속 조치로 문을 연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했다. 불과 몇 초 만에 남북 평화의 상징이 잿더미가 됐다. 북한은 연락사무소 폭파 다음 날인 17일 금강산 관광지구와 개성공단, 비무장지대(DMZ) 내 감시초소(GP)에 군부대를 재주둔시키고 서해상 군사훈련도 부활시키겠다고 발표했다. 남북 관계가 극으로 치닫고 있다.

이렇게 북측이 무력 도발을 할 때면 가장 불안에 떠는 사람들은 접경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경기북부지역 주민들이다. DMZ 내 위치한 대성동 ‘자유의 마을’을 현장 취재한 기자들은 외출을 자제한 채 잔뜩 움츠러든 주민들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고 한다.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북한에 의해 폭파된 지 2일이 지난 18일. 대법원에서는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허위사실 공표 혐의에 대한 전원합의체 심리가 열렸다. 전원합의체 심리에서 대법관들의 합의가 순조롭게 이뤄지면 이 지사에 대한 선고는 다음 전원합의체 선고기일인 7월16일 내려질 수 있지만 합의가 난항을 겪게 되면 두세 달 이상 선고가 미뤄질 수도 있다.

▶“1천300만 경기도민의 일꾼 이재명 경기도지사에 대한 무죄 판결을 촉구한다”같은 날 한국노총 전국건설산업노동조합 경기지역본부는 경기도청에서 집회를 열고, 그동안 이 지사가 기업이 일하기 좋은 경기도, 투명경영으로 노사간 함께 하는 기업의 이미지를 고취시키는 데 노력해 왔다며 대법원의 무죄 판결을 촉구했다.

▶“나를 죽일지 살릴지 결정을 하는 심리가 대법원에서 열린다고 한다. 이 발언을 하는 현재 이미 목이 떨어져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마지막 순간까지 나는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하겠다.” 대법원 전원합의체 심리가 진행되던 시각,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도청에서 확대간부회의를 주재하며 한 말이다. 대법원에서 어떠한 결정을 내리더라도 할 일은 하겠다는 이 지사. 이날 이 지사는 공무원들에게 여름 휴가철을 맞아 불법 계곡 정비를 다시 한 번 강조했고, 기본소득 정책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그러나 제아무리 이재명 지사라고 할지라도 자신의 재판을 앞두고 본인의 능력 100%를 도정에 집중할 수 있을 리 만무하다. 1천300만 도민의 안위를 책임지는 경기도지사는 접경지역도 관할한다. 북한이 무력도발을 하고 주민들이 불안해하는 상황이다. 경기도지사가 도정과 주민 안위에 집중할 수 있도록 대법원의 신속한 판결을 촉구한다.

이호준 정치부 차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