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 공공주택지구(과천 3기 신도시) 농업기업인들이 생존권 보장과 개발지구 내 재정착을 위한 행동에 나섰다.
과천 농업기업경영인 공작물협의회는 최근 과천농협 대강당에서 창립총회를 열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고 21일 밝혔다.
이들은 “과천 공공주택지구에는 부지 155만5천여㎡에 7천100가구 아파트와 의료ㆍ바이오타운, 글로벌 창업ㆍ연구센터, 복합쇼핑테마파크, 환경&창의 교육형 물 순환테마파크 등이 들어서는데도, 정작 원주민과 화훼 기업인들은 외지로 떠나는 위기에 놓여 있다”며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들은 “정부가 과천 공공주택지구 개발과정에서 주민들의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사업을 추진, 화훼농민 1천여명과 농업기업인들이 삶의 터전을 잃게 됐다”며 “정부는 농민과 기업인들의 생존권 보장과 지구 내 재정착을 할 수 있도록 법적ㆍ제도적 장치를 보완하라”고 요구했다.
이어 “과천 공공주택지구에는 동ㆍ식물시설 104곳, 비닐하우스 1천853곳, 무벽 건축물 114곳, 가건물 77곳, 조직배양실, 화훼온실, 농수산물 창고, 콩나물재배사 등 농업 관련 기업들이 100여곳 산재했는데도, LH는 농업기업인에 대한 대책은 전무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LH는 농업기업인들이 지구 내 재정착할 수 있도록 자족용지 등 대체용지를 공급하라”고 촉구했다.
윤미현 과천시의회 의장은 “과천 공공주택지구 개발사업으로 인해 과천 농업 기업인들이 삶의 터전을 잃는 등 어려움이 처해 있는 게 사실이다. 과천시의회는 앞으로 농업인과 기업인들이 재정착할 수 있도록 재산권 보장과 생업과 관련된 많은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재서 과천 농업기업경영인 공작물협의회 회장은 “정부가 3기 신도시개발을 발표하면서 자족도시와 원주민 재정착을 캐치프레이즈로 제시했다. 협의회는 앞으로 생존권 등으로 어려움에 처한 농업기업인과 농업인들이 지구 내 재정착할 수 있도록 대책을 준비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과천=김형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