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선 지중화·공공시설 내진설계 시급
박남춘호(號) 민선7기 인천시의 공약 추진 전략 중에는 ‘365일 안전안심 도시’가 들어있다. 시는 안전도시 인천을 만들기 위해 재난안전본부를 시민안전본부로 바꾸고 전국 광역지방자치단체 중 최초로 시민안전보험제도를 운영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지만 아직 갈길은 멀다. 특히 낮은 전선 지중화율, 멀기만한 공공시설물 내진설계 확충 등이 필요하다.
25일 시에 따르면 인천의 전체 한국전력 배전선로 총 6천709㎞ 중 지중화가 이뤄진 구간은 약 2천639㎞로 약 39%에 불과하다. 신도시와 원도심 간 전선 지중화율 차이도 심각하다. 전선지중화율이 가장 높은 연수구는 90.93%인데 반해 강화군은 1.73%의 지중화율을 보이고 있다. 원도심으로 분류 가능한 옹진군, 미추홀구, 동구의 지중화율도 각각 5.12%, 31.9%, 33.48%에 불과하다.
시는 2024년까지 48.31㎞에 대해 지중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이 계획이 이뤄져도 여전히 4천22㎞ 구간은 전선 지중화가 이뤄지지 않는 셈이다.
이와 함께 내진설계를 해야하는 인천의 공공시설물 중 30%도 내진설계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다. 인천의 내진보강 대상시설물은 1천756개로 이 중 약 600개는 내진설계가 이뤄지지 않았다.
이들 사업 추진을 위해선 구체적인 예산 마련 로드맵이 필요하다. 지중화 사업은 1㎞의 전선을 지중화하는데 약 50억원의 예산이 들어간다. 전체 전선을 지중화하는데 20조3천500억원(시비, 군·구비, 한전 사업비 등)이 필요한 셈이다. 내진보강에도 1천260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추정 중이다.
또 현재 운영 중인 폐쇄회로(CC)TV의 화질 개선도 마무리해야 한다. 인천에는 1만4천765개의 CCTV가 있다. 이 중 저화질 CCTV는 1천274개에 달한다. 이는 전체의 약 9%인 셈이다. 특히 어린이보호구역 내 CCTV 조기 설치도 주요 현안 중 하나로 꼽힌다.
특히 적수사태 이후로 잃은 신뢰 회복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선 데이터에 기반한 스마트 관망관리 인프라 구축, 노후관 조기 교체·정비, 지속적인 관 세척 추진 등이 필요하다. 시민과의 거버넌스 구축도 중요하다. 수돗물평가위원회의 인원 확대와 함께 이들의 권한도 확대하고 수돗물만들기 위원회에 시민과 전문가를 참여시키는 등 투명한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남궁형 시의원(더불어민주당·동)은 “시민 안전과 직결한 문제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예산 확보 계획 등을 수립하는 등 전선 지중화사업과 공공시설물에 대한 내진설계를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