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의 한 사립유치원에서 원인 모를 식중독 사태가 발생하면서 110명이 넘는 환자가 나온 가운데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이 “유치원에서 의도적으로 감춘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유치원 원장이 원아들에게 제공한 간식 보존식이 일부 보관돼 있지 않은 것에 대해 일부 학부모가 “고의성”이라고 주장하는 것과 대비되는 의견이다.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은 29일 오전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아이들이 빨리 회복될 수 있길 간절히 기대하고, 이를 위해 최선을 다 하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 교육감은 “(해당 유치원에서) 무증상 원아가 나와 도교육청은 지난 19일에 교직원ㆍ원아ㆍ가족 등 전수 조사를 실시했다”며 “현재까지는 조사 대상 202명 중 식중독 유증상자가 111명이며 이 중 양성 반응이 일어난 게 57명이다. 원인에 대해선 질병관리본부가 계속 역학조사 중”이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사건 발생 전후인 이달 10일부터 15일까지 방과후 간식이 보존되지 않고 버려진 게 원인이라고 지적한다.
이에 대해 이재정 교육감은 “이건 좀 오해가 있다”며 “보존식이라는 건 법에 의해 식사를 하기 전에 조리가 끝난 다음 (식중독 검수 등을 위해) 일부를 덜어놓도록 돼 있다. 전체를 다 했지만 실수로 세 종목에 대한 음식이 빠졌던 것으로 유치원이 의도적으로 감춘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특히 15명의 아이들이 일명 ‘햄버거병’으로 불리는 용혈성요독증후군에 걸렸고 이 가운데 4명이 투석 치료를 받고 있는 만큼, 원인 규명이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는 분위기다.
이 교육감은 “전체적으로 유증상자 등 환자를 질병관리본부가 총괄하고 있고 도교육청은 사고수습본부와 안산교육지원청 내 대책본부가 대책을 세워나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다른 유치원 등에서 비슷한 신고가 들어온 건 없다”며 “이 일이 일어나자마자 도내 전체 유치원ㆍ학교에 대해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라는 지시를 내리고 식중독 위험에 노출될 시 대처하도록 했다”고 부연했다.
일부 학부모들이 해당 유치원의 늑장처리를 꼬집는 부분에 대해서도 이 교육감은 “전혀 아니다”라는 입장이다. 지난 12일 최초 증상자(5세)가 나왔는데 16일에서야 보건당국에 신고, 이 부분을 어떻게 평가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그는 “해당 아이가 16일까지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이렇게 되면 보통 병원에서 학교에 연락하지 않고 보건소에 연락을 하며 보건소가 역학조사를 벌인다. 그 결과가 이렇게 된 것”이라며 “유치원에서 일부러 늑장처리를 했다고 볼 순 없다”고 강조했다.
강현숙ㆍ이연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