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초교 취학 대상 아동 중 2명 소재불명

인천지역 초등학교 취학 대상 아동 중 2명의 소재가 여전히 묘연하다. 해외 출국 기록은 확인했지만, 어디에서 어떻게 지내고 있는지를 확인하지 못해서다.

1일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2020년 취학대상 아동은 2만6천515명이다.

이 중 지난 1월 3일 예비소집일에 참석하지 않은 아동은 2천299명이었고, 이 중 대부분은 시교육청과 경찰이 공조해 소재를 확인했다.

하지만, 동부교육지원청 소속 학교에 취학할 예정이던 남자 아동 2명의 소재는 여전히 묘연하다.

A군(8)은 지난 2018년 6월께 부모와 함께 베트남으로 동반 출국한 사실을 서류로 확인했다. 시교육청은 지난 1월 8일 A군에 대한 수사를 의뢰했고, 경찰은 외교부를 통해 A군이 베트남에 실제 거주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해달라고 요청했다.

B군(8)은 지난 2017년 2월께 부모와 함께 미국으로 동반 출국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시교육청은 지난 1월 9일 B군에 대한 수사를 의뢰했다. 경찰은 외교부에 B군의 미국 거주 여부를 확인해달라고 했지만, 아직 확인하지 못했다.

그동안 인천에서는 의무취학 대상 아동의 소재 파악에 전력을 다해왔다. 지난 2015년 반바지에 맨발로 집 2층 가스관을 타고 탈출한 이른바 ‘맨발 탈출 소녀’ 사건이 계기로 작용했다. 당시 소녀의 나이는 11살로, 취학대상 아동 소재파악이 철저하게 이뤄졌다면 학대 피해에서 벗어날 수 있었을 것이란 지적이 나오면서다.

이 때문에 시교육청은 이후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 소재확인에 주력했고, 해마다 3월말께면 해외 출국 아동 등의 소재를 모두 파악해왔다.

경찰과 시교육청은 2명의 아동 모두 해외로 출국한 후 소재를 알 수 없는 상황인데다 코로나19로 인해 확인 작업이 늦어지는 점도 한 몫했다고 말한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통상 2~3월이면 외국에 나간 아동까지 소재파악이 끝난다”며 “올해 같은 경우 코로나 문제도 있고 해서 늦어지고 있어 우리도 답답한 마음이 크다”고 했다.

이어 “행정적으로 할 수 있는 역할이 수사 의뢰 정도기 때문에 일단 우리도, 경찰도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는 한 상태”라며 “지속적으로 소통하면서 소재파악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김경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