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號 출범 2주년 下] 계곡 복원·맞춤 복지… 생활밀착형 정책 만족도 ‘UP’

청년기본소득·어린이 건강과일 등 세대별 복지 반향 불러
‘경기도형 뉴딜전략’ 연계사업 발굴 하반기 최대 과제로

▲ 30일 오후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도청 출입기자실을 방문해 출입기자들과 환담을 나누고 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취임 2년간 중점적으로 추진한 생활밀착형 정책들이 도민의 실생활을 크게 변화시켰다.

특히 그동안 이해 관계자들의 저항 탓에 추진하지 못했던 청정 계곡ㆍ하천 복원사업과 세대별 맞춤 복지 정책 등은 이재명 표 생활밀착형 정책으로 꼽힌다.

먼저 이재명 지사는 계곡ㆍ하천 복원사업과 관련해 적극적인 소통을 통한 문제 해결로 난관을 극복해나갔다. 이에 25개 시ㆍ군 190개 계곡ㆍ하천의 불법시설물 1천482곳을 적발, 주거시설 50곳ㆍ집행정지명령 3곳 등을 제외한 약 94%를 철거하는 성과를 올렸다. 결국 청정 생태계를 복원한 자연환경을 목격한 관광객과 지역 주민들은 높은 만족도를 보이며 경기도가 하면 다르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또 이 지사는 어린이, 청소년, 청년 등 미래 세대를 향한 정책 마련에도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다.

58만5천명의 어린이에게 과일을 공급하는 ‘어린이 건강과일’ 사업을 비롯, 초등학교 4학년생에게 구강검진 및 진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치과주치의 제도’를 운영하며 어린이 맞춤 서비스를 운영했다. 또 광역지자체 최초로 시행한 대안교육기관 무상교복 지원사업(중등과정)과 청년을 대상으로 한 청년기본소득(연 100만원), 청년 면접수당(최대 21만원), 군 복무 경기청년 상해보험 가입 지원 등 차별화된 복지 정책으로 반향을 불러왔다.

이 지사는 이 같은 활약을 도정 활동을 바탕으로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로부터 2년 연속 최우수 등급인 SA등급에 선정됐다.

이런 가운데 이 지사는 민선 7기 도정 후반기를 열며 ‘미래 먹거리 산업’, ‘기본소득 제도화’, ‘남북협력사업 확대’ 등 쉽지 않은 난제를 풀어야 하는 과제도 안게 됐다.

먼저 도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고용여건과 일자리 수요 변화를 대비해야 한다. 정부에서 한국형 뉴딜(디지털ㆍ그린ㆍ휴먼)을 미래 성장 전략으로 채택한 만큼 이 지사는 정부와의 보조를 맞추는 시너지효과를 만들어야 한다.

이에 이용철 행정2부지사를 단장으로 하는 경기도형 뉴딜전략 TF팀이 도정 전반에 걸친 연계사업을 어떻게 발굴하는지가 이번 사안의 최대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지사의 핵심 정책인 기본소득 정착도 민선 7기의 성패를 가를 핵심이다.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이 코로나19 위기에서 경제방역정책으로 효과를 발휘하며 기본소득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마련한 만큼 기본소득이 제도화 과정을 밝을 수 있는지 관건이다. 현재 도는 국회의 ‘기본소득 연구 포럼’, 경기도의회의 ‘기본소득 연구 모임’ 등을 지원해 ‘기본소득에 관한 법률’ 등 제도화 기반에 나선 만큼 이에 대한 성과를 반드시 이뤄야 한다.

이 지사의 의지가 담긴 남북평화협력 사업도 중요 관심사다. 올해 도는 코로나19 사태와 북한의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로 대다수 남북사업을 중단한 상태다. 하지만 현재 정부 차원에서 북미3차정상회담을 추진하는 등 정세변화의 여지가 있는 만큼 언제든 남북협력 사업이 재개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해야 한다.

이광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