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스스로 주인이 되는 택시협동조합이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려면 경영컨설팅 지원과 전국 네트워크망 구축이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도와 경기도의회는 3일 경기도의회 1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0 상반기 경기도 정책토론 대축제-경기도형 노사정 택시노동자협동조합 설립 및 발전방향 모색’을 개최했다.
경기도의회 유튜브 채널인 ‘e끌림’에서 함께 생중계된 토론회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박근철 도의회 더불어민주당 대표(의왕1), 임채호 경기도 정무수석 등 일부 관계자만 참석한 채 무관중으로 진행됐다.
‘택시노동자협동조합 설립 및 발전방안’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 유길의 대구협동조합지원센터 센터장은 “노동자들이 스스로 조합원(주인)이 돼 노동과 경영에 참여하는 택시협동조합은 개인택시의 자율성과 법인택시의 조직화라는 장점을 모두 가졌지만 현실적 한계도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초기 충분한 운영자금 없이 시작해 부채에 따른 이자비용이 발생하는데다 경영 전문지식 부족으로 안정적인 운영을 이루기 어렵기 때문이다.
유 센터장은 경기도 차원의 택시협동조합 지원과 내부적으로 연대를 다질 수 있는 네트워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 센터장은 “경기도사회적경제센터 내 택시조합관련 전담팀이 신설된다면 설립ㆍ운영지원 과정에서 체계적인 교육과 상담을 받을 수 있어 조직 안정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조합 간 연대사업을 통해 차량과 부품을 공동구매한다면 규모의 경제를 살리는 해법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도의회 김명원 건설교통위원회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ㆍ부천6)이 좌장을 맡은 토론회에는 최준규 경기연구원 연구위원, 정창윤 쿱프렌차이즈연합회 회장, 박헌진 경기도 택시정책팀장, 문보경 경기도사회적경제센터장, 김대면 달구벌택시 이사, 박강태 일하는사람들의협동조합연합회장이 패널로 참석해 토론에 임했다.
문보경 센터장은 택시협동조합 지원 프로세스 마련을 위해 시범사업을 검토해보겠다고 밝혔다. 문 센터장은 “센터는 사회적경제와 관련된 전략사업을 발굴해야 하는 만큼 택시협동조합의 설립ㆍ지원을 위한 전담팀 구성을 검토해보겠다”며 “택시협동조합 표준규약 작성 등의 연구사업 공모와 수요응답 형태의 상담창구 개설 등을 시범사업으로 논의하겠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박헌진 도 택시정책팀장은 “도에서도 조합이 처한 현실을 이해하고 있다”며 “민ㆍ형사상 무료법률상담 및 세무상담, 노동ㆍ법률 상담을 비롯해 맞춤형 근로권 보호교육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광희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