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는 3일 본회의에서 코로나19에 따른 경제 위기 극복과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하기 위한 35조1천억원 규모의 3차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을 처리했다. 3차 추경안이 통과된 건 지난달 4일 정부의 추경안이 제출된 지 29일 만이다.
이번 추경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지난 2009년 추경(28조4천억원)을 넘는 역대 최대 규모라는 점에서 관심이 쏠린다. 특히 한해에 3차례 추경을 편성한 건 지난 1972년 이후 48년 만이다. 국회는 앞서 지난 3월17일, 4월30일 각각 추경안을 처리했다.
국회는 이날 밤 본회의에서 당초 정부가 제출한 원안(35조3천억원)보다 2천억원이 순감한 추경안을 재석 187명 중 찬성 179명, 반대 1명, 기권 7명으로 가결했다.
제1야당인 미래통합당은 원 구성 파행 및 3차 추경안 졸속 심사를 문제삼으며 표결에 전원 불참했다. 정의당의 경우 추경 심사 과정에 문제를 제기하며 기권표를 행사했다. 앞서 민주당은 지난달 29일 상임위원장 독점 체제를 구축한 당일부터 상임위 예비심사에 착수, 이날 예결위 전체회의까지 나홀로 심사를 진행했다.
3차 추경에는 ▲고용안전망을 위한 고용안정 특별대책 이행 지원을 위한 9조1천억원 ▲내수·수출·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온누리상품권 1조원 추가 발행 등 3조2천억원 ▲K-방역 산업 육성 등 2조4천억원 등이 추가로 편성됐다. 또 한국판 뉴딜을 위한 예산 4조8천억원 역시 추가됐다. 3차 추경 예산으로 고용위기 근로자 321만명, 소상공인 101만명, 방역지원 472만명 등 총 892만명이 혜택을 볼 것이라고 정부는 내다봤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