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추홀구 범죄예방지도 추진 2년만에 백지화 위기

인천 미추홀구가 주민 안전을 위해 추진해 온 범죄예방지도가 추진 2년만에 백지화 위기다.

7일 구에 따르면 지난 2018년부터 지역별 범죄 다발구역과 시간대 등 분포도를 구분해 보여주는 범죄예방지도 구축 사업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지난 2019년 숭의동을 대상으로 범죄예방지도를 시범제작한 이후로 진행상황이 멈춰선 상태다. 범죄 다발지역 등 통계를 확인하고 지도로 만들기 위해선 경찰과의 협조가 반드시 필요하지만, 협의가 완전히 이뤄지지 않은 탓이다.

앞서 구는 2018년 3차례에 걸쳐 경찰과 협의하고 지난해 숭의동 일대 5대 범죄 통계가 담긴 범죄예방지도 시범안을 받았다.

당초 계획대로 2020년부터 구 전역을 대상으로 범죄예방지도를 제작·배포하려면 경찰에 추가로 협조를 받아야하지만, 구가 2020년 들어 경찰에 단 1차례도 연락하지 않으면서 사업이 완전히 멈춰서 있다. 만약 경찰이 구 전역에 대한 범죄 자료 요청을 거절하면 사업 자체가 무산 절차를 밟을 가능성도 남아있다.

특히 구는 어느 기간 동안 각 5대 범죄(살인·강도·강간·절도·폭력)가 얼마나 자주 벌어지는지, 각 범죄의 규모와 심각성을 지도에 함께 반영하는지 등 통계를 분류하기 위한 기초적인 기준점도 세우지 못했다.

이 때문에 사업 추진 3년차에 접어들 때까지 구 차원에서 범죄 다발구역·시간대에 대한 기준을 구체적으로 정하지 못한 채 경찰 협조에만 기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범죄예방지도를 제작하더라도 이를 주민들에게 배포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범죄 다발지역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표시한 지역별 범죄율이 오히려 주민 불안을 높이고 기피현상까지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구 관계자는 “현재 코로나19 때문에 예산·인력 등에 문제가 생기면서 경찰과 논의를 하지 못했다”고 했다. 이어 “경찰과 연락해 자료 협조를 구하고 범죄예방지도 제작을 계속 추진하면서 이후 벌어질 수 있는 주민 반발에 대해서도 해결책을 고민하겠다”고 했다.

조윤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