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지역은 이미 재개했다는데…우리 지역 보건소는 도대체 언제부터 다시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 발급 시작할까요?”
코로나19 여파로 경기지역 보건소들이 감염병 대응에 집중하며 기존 일반 업무를 대폭 축소 운영(경기일보 4월21일자 7면) 중인 가운데 일부 보건소가 보건증 발급 업무를 재개하지 않고 있어 외식업계가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8일 도내 보건소 등에 따르면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하기 시작한 지난 2월부터 31개 시ㆍ군 가운데 19곳의 보건소가 일반 업무를 중단함에 따라 보건증 발급이 멈췄다. 이후 지난달부터 코로나19 전파가 약화되면서 보건소들도 점차 일반 업무를 재개, 이날 기준 수원ㆍ용인ㆍ성남ㆍ화성ㆍ광명ㆍ이천 등 6개 지역 보건소만 아직 보건증 발급 업무를 진행하지 않고 있다.
이에 해당 지역 외식업계 종사자들이 언제까지 높은 비용과 긴 시간을 들여 일반 의료기관에서 보건증을 발급받아야 하냐며 불만을 토해내고 있다. 식당이나 카페, 주점 등 식품ㆍ유흥 분야에서 일하는 종업원은 반드시 보건당국에서 결핵과 장티푸스 등 검사를 받고, 보건증 발급 후 근무에 나서야 한다. 이 보건증은 보건소에서 발급받으면 비용이 3천원에 불과하지만, 일반 병원 등에서 발급 시 최대 3만원에 달하는 비용이 든다. 또 보건소에서 보건증 발급할 경우 통상 3~4일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 것과 달리, 일반 병원은 보건증 발급까지 최대 일주일이 걸리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원시 팔달구의 뷔페 음식점에서 일하는 A씨(32)는 “다른 지역에 거주하는 친구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지역 거주민이거나 근무지가 해당 지역에 소재하고 있을 경우 보건소에서 보건증 발급을 해주고 있다”며 “시민의 세금으로 보건소가 운영되는 것인데 일반 업무를 아예 배제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조치”라고 꼬집었다.
한국외식업중앙회 경기도지회 관계자는 “도내 시ㆍ군 중 어디는 보건증 발급을 해주고, 어디는 안 해주고 있어 일부 회원이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는 불만을 내고 있다”며 “정부에서 통일성 있는 행동지침 등을 정해 현장 혼란을 방지해줘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 보건당국 관계자는 “민원인이 보건증 발급을 문의하면 보건소만큼 비용이 저렴한 병원을 소개해주고 있다”며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고자 코로나19가 완화되면 곧바로 일반 업무를 재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채태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