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郡) 단위 지역의 불편함이 크다. 문화ㆍ체육시설의 공공 의존도가 높아서다. 공공 시설들이 모두 코로나19로 폐쇄됐다. 기간이 장기화되면서 주민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그도 그럴 게, 지역에서 공공시설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이다. 문화ㆍ체육 활동이 통째로 사라진 셈이다. 우울증 등의 병증(病症)으로까지 이어진다는 호소도 있다. 이를 제한적으로나마 풀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희겸 경기도 행정 1부지사가 건의했다.
15일 총리 주재 코로나19 회의에서다. 김 부지사는 “문화ㆍ체육 시설 장기 폐쇄로 인한 주민 고통을 고민해야 한다”며 지역별ㆍ상황별 개방을 주장했다. 김 부지사가 특히 강조한 것은 코로나19 감염이 없는 군 단위 지역이다. 연천군은 감염자가 없다. 여주 등 일부 지역도 극소수만 있다. 이런 지역에서는 시설을 열어야 한다고 밝혔다. 민간 시설이 없거나 부족한 지역들이다. 공공시설 폐쇄로 인한 상대적 피해가 크다고 설명했다.
도시 지역의 문제도 지적했다. 공연장, 체육관, 운동장, 도서관 등이 폐쇄됐다. 그렇다고 시민 수요가 없어진 게 아니다. 결국, 찾게 되는 것이 민간 시설이다. 공공시설에 비해 방역 체계가 허술한 경우가 많다. 시민들을 감염 위험이 큰 시설로 내모는 결과를 빚고 있다. 김 부지사는 이 역시 전향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시민들이 우울증까지 호소하는 상황에서 지역별ㆍ시설별 운영에 융통성을 기할 때가 됐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된 조치가 경기도에서는 조만간 내려질 것으로 보인다. 자체 판단을 통해 일부 지역, 일부 시설의 폐쇄를 완화하는 방안이다. 앞서의 언급처럼 그 대상은 감염 빈도가 낮은 군 단위 지역, 방역 체계 관리가 가능한 도시 지역이 될 듯하다. 우리의 판단도 다르지 않다. ‘코로나 봉쇄’가 반년을 향해 간다. ‘숨 쉬고 싶다’는 욕구가 목까지 찼다. 단순한 욕구가 아니라 고통의 수준이다. 적절한 선택과 효율적 조치를 고민할 때다.
문화ㆍ체육 활동에 대한 개념 선택의 문제다. 단순한 여과 활동의 영역으로 본다면 계속 폐쇄해도 된다. 일상 속 필수 활동의 영역으로 본다면 계속 막아선 안 된다. 현대 사회에서의 비중은 당연히 후자(後者)다. 장기간 포기하면서 생활하기 어려운 분야다. 수요자들 대부분이 민간 시설로 옮겨가 있잖은가. 감염 위험성이 큰 곳으로 몰아내는 꼴이다. 김 부지사 제언처럼 ‘엄격하게 구분해서’ 풀 수 있는 곳은 푸는 것이 행정의 지혜일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