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까지 해양·환경 일자리 12만개·1만3천개 창출

디지털 생태계 구축·사회적경제기업 진출 확대…새로운 일자리 기반 구축

코로나19를 극복하기 위해 해양수산분야의 일자리 약 12만 개, 환경분야의 일자리 1만 3천개 등 새로운 일자리 기반을 구축하고 창출한다.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는 22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제16차 일자리위원회를 열고 ‘해양수산 고용안정 및 일자리대책 추진방향’, ‘환경분야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을 상정·의결했다고 밝혔다.

‘해양수산 일자리대책 추진 방향’은 연안·어촌의 민간 SOC 투자 확대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및 스마트항만 도입 등 해양수산분야의 디지털 생태계 조성 방안을 담았다. 오는 2022년까지 일자리 약 12만 개를 창출할 계획이다.

먼저 청·장년층 중심의 귀어·귀촌을 활성화하기 위해 법·제도를 개선하고 어촌계원 자격요건 완화, 청년어업인에 대한 창업·정착 자금 및 어선 지원 등 어촌정착 지원정책을 강화하는 한편, 어선원·어업인의 안전보험·재해보험 가입을 확대하고 보험료 부담 경감을 지원한다.

어촌재생 확산을 위해 2024년까지 어촌뉴딜 300사업 300곳을 지속 확대하고 항만 재개발 등 민간SOC 투자 활성화를 통해 지역 일자리를 창출한다.

해양수산분야 신디지털화로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무역-물류의 디지털화, 자율운항선박 상용화, 스마트항만을 도입하고 한국형 스마트양식 혁신기술 개발을 통해 연관산업의 청년층 진입을 유도할 계획이다.

또 올해부터 공공부문 친환경 선박을 선제적으로 도입해 기술 상용화, 운영기반 확충 후 민간부문으로 확대함으로써 친환경 선박의 신시장을 개척하고 지역의 고용 창출을 도모한다.

갯벌복원사업을 확대하고 오는 2022년까지 플라스틱 등 해양쓰레기 30% 저감을 목표로 바다환경지킴이(연 1천명)를 배치한다.

해양관광을 활성화하고 해양신산업을 육성한다. 해양관광 인프라 구축을 위해 거점 마리나·마리나 비즈니스센터· 해양치유센터·해양레저관광거점을 오는 2025년까지 조성하고 다양한 섬 관광을 즐길 수 있는 호핑투어 프로그램 상품화도 추진한다.

‘환경분야 사회적 경제 일자리 창출방안’에서는 신산업·환경문제 해결·환경 서비스 등 변화된 시장에서의 사회적경제기업 진출 확대 및 전 단계별 육성 강화 방안을 마련했다.

환경문제 해결 분야 진출 확대로 환경가치를 확산한다. 지역 주민 반대로 폐기물처리시설 등의 설치가 어려운 현실에서 마을기업 등이 폐기물처리시설 폐열 등을 활용, 지역에서 수익을 창출하고 상생발전할 수 있는 사업모델을 발굴·확산할 계획이다.

또한 최근 기후변화, 미세먼지 등 환경 현안에 대한 교육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환경교육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환경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사회적경제기업을 참여토록 하는 등 특화된 지원체계를 마련한다.

김용기 일자리위 부위원장은 “한국판 뉴딜의 디지털·그린 뉴딜과 고용 및 사회안전망은 창과 방패 같은 역할을 한다”면서 “디지털·그린뉴딜은 새로운 성장동력을 자극하며 경제·산업구조의 재편을 촉진하고 이러한 새로운 시대의 물결을 유연하게 헤쳐나가기 위해서는 고용 및 사회안전망이 잘 갖춰져야 한다”고 말했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