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대 이사회의 오만, 더 이상 용납은 없다

파행과 갈등으로 얼룩진 국립 인천대학교 3대 총장 선거가 ‘교육부가 총장 임명을 거부한 대학’이라는 오명만 뒤집어쓴 채 원점으로 돌아왔다. 인천대 이사회는 27일 임시 이사회를 열고 처음부터 모든 절차를 다시 밟는 재선거 방식으로 3대 총장을 뽑기로 했다. 지난 6개월간의 총장 선거는 교내 갈등과 지역사회의 분열이라는 깊은 상처만 남겼다.

재선거에 필요한 앞으로 6개월은 총장 공백에 따른 학사 운영 차질까지 불가피해졌다. 이 같은 사태는 이사회가 교수와 학생 등으로 구성한 총장추천위원회의 정책평가 투표에서 3위에 그친 후보를 충분한 설명도 없이 최종 후보로 결정, 교육부에 추천하면서 이미 예견됐다. 결국, 교육부로부터 총장 임명을 거부당하는 전국적인 망신살을 자초한 것이다.

이사회는 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이사회는 정책평가 투표 3위를 최종 후보 선정한 이유와 명분을 밝혀 달라는 인천대 내부와 지역사회 등의 목소리에 대해 침묵으로 일관하며 의구심과 갈등만 키웠다. 상황이 이 지경에 이르자 인천대 동문회 추천 몫 이사인 배진교 국회의원(정의당 원내대표) 조차 “이사회는 학내 다수 뜻을 외면한 채 형식적 절차와 모순으로 전횡과 야합의 수렁으로 인천대를 몰아넣고 있다”라며 지난 7월15일 이사직을 내던졌다. 그는 “이 같은 결과를 방관한 것은 무책임한 처사라는 걸 고해하는 심정”이라고도 했다.

물론 총장 선거 과정에서 정책평가 투표 1, 2위 후보의 논문 표절과 도덕성 문제, 총장추천위원회의 구성과 평가 방식 등에 대한 논란도 불거졌다. 하지만, 이사회가 최종 후보 선정 과정에서 이 같은 문제들을 밝히고 검증했다면 학내 및 지역 갈등을 가라앉히고 ‘교육부의 총장 임명 거부’라는 최악의 사태도 막을 수 있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사회는 지난 6개월, 앞으로 6개월, 갈등과 고통의 1년을 인천대와 시민에게 떠안겼다. 이 상황에서 이사회가 마치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임시 이사회를 열고 차기 총장 선거를 다시 주도하겠다고 나선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다.

설명과 반성, 책임지는 모습이 먼저이다. 지금이라도 이번 사태를 부른 원인과 문제점을 밝히고 책임져야 한다.

이사회의 부득이 한 입장이 있다면 함께 말이다. 그리고 새롭게 다시 출발해야 한다. 시립을 거쳐 국립으로 성장한 인천대는 재학생, 교수, 임직원(1만 3천여 명), 졸업생 등 17만 인천대인은 물론 300만 인천시민의 백년대계이자 미래의 희망이다.

10명 내외의 특정인사로 구성한 이사회가 인천대의 모든 것을 좌지우지 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면 오만이다. 이 같은 오만은 정부와 인천시, 지역의 일부 특정 세력 등이 밀실 야햡으로 입맛에 맞는 총장을 세우려 한다는 오해만 부를 뿐이다.

더 이상의 오만이 없기를 바란다. 오늘 날의 인천대를 함께 일궈온 시민과 지역사회, 학교 구성원 등은 특정 세력의 오만을 더 이상은 좌시하지 않을 것 이라는 점을 이사회는 명심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