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4천여가구가 공급될 하남 감일지구의 준공이 1년 늦춰지면서 입주예정자들의 반발이 거세질 전망이다. 시행을 맡은 기관과 해당 지자체가 수도용지 소유권 취득에 대한 협의를 제때 못한데다가 송전선로 지중화 사업마저 지연되면서 당초 일괄적으로 추진하려던 사업 추진이 2단계로 분리, 입주예정자들의 안전문제까지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27일 경기도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따르면 경기도는 올해 12월 31일까지 사업지구 전체를 조성할 것으로 계획했던 하남 감일지구 조성사업을 1ㆍ2단계로 나눠 준공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사업 전체 면적의 32.1%를 차지하고 있는 2단계 조성 사업에 대해선 1년 연장(내년 12월 31일)을 계획 중이다.
하남 감일지구 조성사업은 하남시 감일ㆍ감이동 일원 168만5천848㎡ 부지에 공동주택과 단독주택 등 총 1만3천797호를 공급하는 사업이다. 총 2조4천928억원의 사업비가 들어가며, LH와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시행자를 맡고 있다.
당초 도와 LH 등은 해당 사업을 올해 12월 31일까지 완료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사업 부지 내 수도용지 소유권 취득 문제 등으로 인해 사업기간 연장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우선 수도용지 소유권의 경우 취득 방법(무상에서 유상귀속으로 변경)에 대한 협의가 해당 지자체와 최근 완료되면서, 해당 필지에 대한 사업준공이 늦어지게 됐다. 수도용지 소유권 취득은 내년 3월께 완료될 예정이다.
지구 북측으로 계획된 송전선로 지중화 사업 역시 한국전력과의 협의가 계획보다 늦어지면서 내년 6월께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사업 부지에 계획된 인근 저류지와 수변공원 등도 조성이 지연될 전망이다. 또 서울시와의 오수처리방안 협의가 최근 완료돼 오수처리 시설 시공기간이 추가로 필요하게 됐다.
이처럼 오는 12월까지 일부 구간에 대한 사업준공이 불가피해지면서 도와 LH는 사업지구를 1ㆍ2단계로 구분, 2단계 구간의 사업기간을 연기할 방침이다. 나머지 잔여구간(1단계)은 소유권 등기민원 등을 예방하기 위해 계획대로 준공을 이행한다.
다만 지구 조성공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황에서 올해까지 총 5천643가구가 입주하게 되면서 입주민들이 불편함이 예상되고 있다. 특히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구간 인근에서는 안전문제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입주민들이 불편함이 최소화 되도록 수도용지 간섭 구간에 대해서는 사업 준공일과 별개로 조속한 조성공사완료를 요청할 것”이라며 “입주민들의 불편함과 안전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LH 관계자는 “2단계 구간 조성 연기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다만 공사 진행에 따른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어 관련 민원 해소에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태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