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임시생활시설 놓고 “확대 불가피” VS “이탈 위험에 불안” 논란

해외입국자로부터 코로나19 감염을 막고자 마련된 임시생활시설 확대를 두고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최근 해외입국자가 급증하는 가운데 임시생활시설에서 격리하던 외국인 3명이 무단이탈하는 사례까지 나오면서 ‘해외유입발(發) 확산 공포’가 지역사회에 퍼지면서다.

29일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중수본에서 운영 중인 수도권 내 임시생활시설은 8개소(김포2ㆍ안산1ㆍ용인2ㆍ인천2ㆍ서울1)로 총 3천22실이다. 이미 90%에 가까운 시설이 차있는 상태로 400여실도 남아있지 않은 상태다.

임시생활시설은 입국자 중 국내에 일정한 주거지가 없는 단기체류 외국인이나 시설격리를 원하는 접촉자가 생활하는 시설이다. 특히 해외입국자들을 2주간 격리하는 동안 CCTV나 별도 식사를 제공하는 등 엄격하게 관리, 해외 유입 감염을 차단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설 부족과 펜데믹(대유행)의 영향에 대비해 방역당국은 선제적인 시설 확보에 나선 상황이지만,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지난 27일 브리핑에서 “(임시생활)시설을 확보하는 문제로 (시설이 있는) 해당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많이 반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임시생활시설이 마련, 지정된 일부 지역에선 주민들이 거센 반대가 이어지고 있다.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 주민들도 지역 내 라마다용인호텔과 골든튤립호텔이 임시생활시설로 지정되자 반대 집회를 20일 넘게 열고 있다.

전대리 지역 ‘코로나19 자가격리 이전설치 비상대책위원회’ 관계자는 “호텔 바로 앞에는 유치원과 노인회관, 주택가가 있고 400m와 800m 떨어진 곳에는 초등학교와 중학교도 있다”며 “외국인 입국자 격리시설이 필요하다는 건 알지만 어떻게 마을 한가운데에 그건 시설을 운영하는지는 이해가 안 된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그런 가운데 임시생활시설에서 이탈자까지 발생하면서 주민들의 불안감은 더 커지고 있다. 지난 27일 오전 3시께 김포의 해외입국자 임시생활시설에 머물던 베트남인 3명이 시설을 탈출한 사건도 발생한 것이다. 이들은 단기체류 외국인으로 한국에 온 지 8일째였다. 입국 당시 받은 진단검사에서는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다.

방역당국은 기존 보안 체계를 한층 더 강화하는 한편 국경을 닫지 않는 한 임시생활시설이 없다면 되레 지역사회 감염 가능성을 높인다며 협조를 부탁했다.

고득영 중수본 해외입국관리반장은 “시설 내부를 중심으로 설치된 CCTV 감시를 외부로 확대, 경찰의 외곽 순찰을 강화하는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며 “이에 필요한 인력도 증원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손영래 중수본 전략기획반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임시생활시설에 대한 지역의 반대가 심한 경우 이분들을 자가격리로 관리하는 방법밖에 남지 않는다”며 “자가격리는 불안전성이 존재해 지역감염 가능성이 커지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강조했다.

김해령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