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공사 오성산근린공원 반쪽짜리 전락

줄어든 사업비 600억원만큼 인천에 환원해야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오성산 근린공원(이하 오성공원) 조성사업이 반쪽짜리로 전락했다. 당초 870억원의 사업비를 예비타당성 조사와 감사원 지적을 피하기 위해 259억원까지 줄이면서 휴양시설(캠핑·야영장)과 도시농업시설 등 각종 시설 계획을 대폭 축소했기 때문이다.

지역 안팎에선 공항공사가 줄어든 사업비 600여억원을 시민에게 돌려줘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4일 인천시와 공항공사 등에 따르면 공항공사는 중구 덕교동 산37의1 일대 88만㎡에 오는 2025년까지 259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오성공원을 조성한다. 인천국제공항을 건설하면서 훼손한 오성산을 다시 복구하는 것이다.

공항공사는 여가시설지구, 테마정원지구, 야구·축구장 등 운동전문테마지구 등의 콘셉트로 오성공원에 습지와 화원 등을 만들 계획이다.

그러나 이는 당초의 사업계획 및 규모와 비교하면 매우 초라한 수준이다. 지난 2003~2006년 공항공사는 인천공항 2단계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항공기 안전 등을 위해 오성산을 절토했고, 관련 허가 조건으로 870억원을 들여 오성공원 조성사업을 추진하기로 시와 합의했다.

이후 사업비 투입을 위한 경제성 분석에서 오성공원 조성사업은 0.21~0.23의 B/C값을 받아 당시 예타조사 기준인 500억원 미만으로 사업비를 조정했다. 또 최근 토지매매가(740억원)를 전체 사업비에 포함하지 않았다는 감사원 지적에 따라 다시 예타조사 기준(현재 1천억원으로 상향)을 피하기 위해 사업비를 259억원으로 축소했다.

이 때문에 시 도시공원위원회는 지난 5월 오성공원 조성사업에 대한 심의에서 “지금의 사업비는 일반적 근린공원 조성비(1㎡당 12만~15만원)보다 훨씬 적은 1㎡당 2만7천원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도시공원위는 오는 2021년 8월까지 실시계획 인가를 받지 않으면 일몰제에 따라 사업부지의 도시계획시설(공원)이 실효하기 때문에 마지못해 사업에 대한 승인을 내준 상태다.

이를 두고 지역 안팎에선 공항공사가 줄어든 사업비 611억원을 지역사회에 환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시민을 위한 자연휴식공간을 훼손한 만큼 적절한 복구가 이뤄져야 하는 게 기본원칙이고, 결국 줄어든 사업비를 사회공헌사업 등으로 시민에게 돌려줘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공항공사 관계자는 “당초 계획보다 사업이 대폭 줄어든 것은 맞다”며 “우선 공원을 만들고 나중에 유지보수 과정 등에서 추가적인 시설 설치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이승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