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기업들이 인천시가 진행하는 코로나19 단체 진단검사를 꺼려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시 방역작업 등을 위한 셧다운(일시적인 부분 업무정지 상태)을 해야 하는 등의 부담을 떠안아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시의 홍보 부족도 저조한 사업 참여를 부채질하고 있다.
10일 시와 기업 등에 따르면 코로나19 관련 기업체 진단검사 사업 추진을 위해 재난관리기금으로 5억4천만원을 배정하고 있다. 시는 사업에 참여하면 1인당 검사비용 3만8천원 중 1만9천원(50%)를 지원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진단검사 사업에 참여한 기업은 경인지방우정청, ㈜코코팜, 쎈에스지엠㈜ 등 3곳(647명)에 불과하다. 이는 기업들이 진단검사 사업 참여에 부담감을 느끼면서 벌어지고 있다. 전 임직원을 대상으로 진단검사를 받았다가 코로나19 확진자가 1명이라도 나오면, 방역작업 등을 마무리할 때까지 셧다운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지역의 한 자동차업체 관계자는 “진단검사를 받았다가 코로나19 확진자라도 나오면 사업장 폐쇄가 뻔한 일”이라며 “괜히 긁어 부스럼이 될 일을 만들 필요가 있나”라고 반문했다.
특히 일부 기업은 진단검사 사업이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할 정도로 시의 홍보 부족도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인천에서 100명 이상의 직원을 둔 기업 10곳을 대상으로 확인한 결과, 단 1곳도 시의 진단검사 사업을 알지 못했다.
지역의 한 버스업체 관계자는 “진단검사 사업과 관련해 시로부터 관련 내용을 전달받은 것이 전혀 없다”고 했다. 한 철강업체 관계자도 “관련 내용을 전달받은 것이 없어서 말할 수 있는 부분 자체가 없다”고 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기업들의 저조한 진단검사 사업 참여는 아무래도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왔을 때 사업장 폐쇄 등을 우려해 발생하는 것 같다”면서도 “현재는 코로나19 확산세가 더뎌 기업들의 참여가 저조한 것도 있다”고 했다. 이어 “같은 내용의 사업을 하는 서울시와 경기도의 상황도 우리와 비슷하다”며 “앞으로 11개 업체 650여명에 대한 진단검사가 예정돼 있는 등 홍보 등을 통해 기업체 모집에 나서겠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