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연세대에 비해 지역대학인 인하대와 인천대를 홀대하는 행정이 빈번하면서 지역사회의 비판을 또 초래하고 있다. 이미 오래전부터 인천경제청이 연세대에 베푼 특혜가 지역사회의 이슈로 이어온 터라 새삼스러운 것이 아니다. 하지만 오랜 이슈가 반복되고 있는데 대해서 인천경제청의 안일하고 안하무인의 행정은 간과할 수 없는 문제다.
인천경제청의 연세대 특혜시비가 다시 불붙은 것은 지난해 초 10년 동안 병원건립 약속을 지키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또 11공구에 99만여㎡ 이상의 바이오단지를 추가로 배정하면서 시작됐다. 송도세브란스병원 건립 약속을 핑계로 추가로 땅을 배정하면서 조성원가에 제공하는 특혜를 제공한 것이다. 여기에 더해 최근에는 추가로 제공한 사업 수익부지의 용적률 상향과 용도변경 등을 요구해서 주상복합용지의 주거용지비율을 10%로 올려줬다.
그러나 연세대의 송도병원 건립은 지난해 약속한 2024년 준공을 2026년으로 연기하려고 시도하는 등 연세대는 무리한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박남춘 인천시장이 적극 나서 약속이행을 촉구하고 있지만 연세대는 병원건립의 문제로 추가적인 특혜를 요구하고 있어 시의회에서 강력 비판하고 나선 상황이다. 병원건립을 담보로 한 연세대의 ‘양치기 소년’에 끌려가는 인천경제청의 행정에 시의회가 앞장서서 견제하고 있으나 역부족이다. 연세대에 대한 막무가내 특혜에 비해 지역대학에 대해 인천경제청이 ‘이중 잣대’를 적용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처사이다. 최근 인천경제청은 인하대에 배정한 11공구의 땅을 멋대로 위치를 바꾸거나 용도 변경하면서 인하대와 갈등을 빚고 있다. 인천경제청이 인하대의 토지대금 일부의 미납을 사유로 들고 있지만 그 사유가 타당하더라도 연세대에비해 형평성에 크게 어긋나는 처사라는 비판을 면키 어려운 행정이다.
대도시의 발전은 지역대학과 함께하는 것이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다. 한정된 송도부지를 비합리적인 논리로 연세대만 유리하게 배정하며 특혜를 주고 지역대학인 인하대와 인천대에는 인색하기 짝이 없는 인천경제청의 행정은 바로잡아야 한다. 10년 넘게 약속을 지키지 않은 부도덕한 대학과의 보이지 않는 고리를 끓어야 한다. 그리고 지역대학과 상생 협력하여 지역과 교육을 혁신하는 새로운 발전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