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공공임대주택 4만호 공급 계획의 초안을 마련했다. 시는 이를 토대로 19일 1차 ‘인천 맞춤형 임대주택 공급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열 계획이다.
18일 시에 따르면 최근 당초 공공임대주택 2만호 공급이라는 민선7기 시정부 공약을 4만호로 상향 조정하는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에 나서고 있다.
시가 수립한 공공임대주택 4만호 공급 계획은 건설형과 매입형, 임차형 등이다. 시는 건설형을 통해 1만3천693가구, 매입형 1만159가구, 임차형 1만7천428가구를 각각 공급한다.
건설형은 택지개발사업 과정에서 일부를 공공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매입형은 민간 등이 만든 공동주택을 한국토지주택공사(LH)나 인천도시공사가 사들여 주변 임대 시세보다 싼 가격으로 임대하는 사업이며 임차형은 주거취약자의 전세 계약금 95%를 공공기관이 지원하는 것이다.
건설형은 LH가 1만1천745가구를 공급한다. 검단지구에 3천788가구를 공급하며 영종지구에 1천897가구, 용마루3블럭에 1천500가구, 논현지구에 910가구, 용마루2단지 870가구 등이다. 이 중 용마루 2, 3단지는 2018년 이미 준공했고 영종지구 1천440가구, 논현지구 412가구 등도 준공했다.
인천도시공사는 구월 A3블럭 1천109가구와 십정 2-1블럭 550가구, 송림초 주변 167가구 등 총 1천826가구를 공급한다. 시도 자체적인 ‘우리집 프로젝트’를 통해 인현2지구(32가구), 덕적지구(29가구) 만수지구(2가구) 등 총 122가구를 영구임대주택으로 공급한다.
매입형은 LH가 8천526가구, 도시공사가 1천633가구를 공급하며 임차형은 LH가 1만3천815가구, 도시공사가 3천613가구를 공급한다.
시는 사업 추진 과정에서 지난번 정부가 발표한 공공 고밀도 재건축·재개발도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변경한 계획대로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면 인천의 공공임대주택 비율은 9.89%를 기록할 전망이다. 이는 전국 평균인 6.9%보다 높은 수치다.
시 관계자는 “인천은 경제자유구역과 검단신도시 등 서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주택 공급이 되고 있지만 임대주택 수는 수도권 다른 시·도에 비해 적다”며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공공주택 사업자와의 협업에 나서겠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