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재확산이 본격화되고 있지만 도내 일선 지자체마다 확진자 정보 공개가 제각각으로 이뤄지면서 시민들의 불만과 혼란이 이어지고 있다. 전날 확진자 세부동선을 다음 날 발 빠르게 공개하는 지자체가 있는 반면 사흘이 지나도록 확진자 정보를 공란으로 비워두는 곳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19일 경기도와 일선 시ㆍ군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기준 고양시의 확진자 이동 경로 홈페이지에는 고양시에서 3일 전 확진 판정을 받은 141번 확진자(경기도 1967번)의 세부동선이 여전히 나오지 않고 있다. 하남시 홈페이지의 이틀 전 보고된 25번 확진자(경기도 1991번) 정보란 역시 아직도 ‘역학조사 진행 중’이라는 안내만 있을 뿐이다. 반면에 남양주시와 용인시는 하루 전인 18일 확진자들의 세부동선까지 공개하면서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시민들은 확진자 정보 공개 지연에 대해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해당 시민들이 모인 커뮤니티나 지자체 블로그 등에는 관련 글과 댓글이 쏟아졌다. 하남시 공식 블로그에는 ‘동선을 공개 안 하는 이유가 있느냐’, ‘동선이 올라오지 않아 밖을 못 나가고 있다’ 등 불만 섞인 댓글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한 고양시민은 청와대 국민청원에 ‘집단감염 있는 고양시 코로나 대처가 미흡함을 청원 드립니다’라는 글을 올려 ‘고양시만 동선 공개가 제한적이고 늦게 이뤄진다’고 불만을 표출했다. 이 청원 글은 벌써 3천명 이상이 동의한 상태다.
지자체마다 공개 범위 차이도 존재한다. 파주시와 남양주시, 가평군 등은 확진자가 들린 가게의 정확한 상호명, 버스정류장명까지 세세하게 공개하는 반면 고양시과 구리시 등은 ‘음식점’, ‘당구장’ 등 추상적으로 표기하고 있다.
지자체들은 정부의 확진자 공개 지침에 따른 것으로 구체적인 정보 고시 불가 방침에 이해를 바란다는 입장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개인 특정할 수 있는 정보 ▲거주지 세부주소 및 직장명 등을 공개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또 해당 공간 내 모든 접촉자가 파악된 경우에는 정보 공개를 하지 않도록 지침을 내렸다. 익명을 요구한 A 지자체 관계자는 “확진자 동선 파악은 시민들의 궁금증 해소가 목적이 아니라 추가 감염 차단을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김해령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