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코로나 확산 속 폭염, 취약층 보호대책 시급하다

역대 최장의 장마가 끝나자 폭염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경보가 내려진 가운데 경북 예천에선 50대 여성이 밭일을 하다 쓰러져 사망했다. 기상청은 일부 지역의 낮 최고 기온이 38도에 이르는 등 전국적으로 가마솥 더위가 이어져 건강관리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폭염에 코로나19까지 무서운 기세로 확산, 마스크를 쓴 채 여름나기가 고통스러워졌다. 무더위에 에어컨을 켠 실내로 사람들이 몰리게 되면서 코로나 방역 부담이 커졌다. 더위가 지속되면 카페 등 실내 활동을 선호하게 돼 바이러스가 퍼지기 쉬운 밀접·밀폐·밀집, 즉 ‘3밀 환경’이 만들어지게 된다. 냉방 기기를 사용하면서 환기를 제대로 하지 않거나 마스크 착용이 느슨해지면 코로나 감염이 크게 늘게 된다. 실제 파주의 한 스타벅스에서 코로나 확진자가 50명이나 나왔다.

폭염으로 고령층과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에 피해가 집중될 수 있다. 고령층은 마스크 착용으로 호흡이 어려워지거나 체온이 오를 수 있어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기온이 1℃ 높아지면 사망 위험이 5% 증가하게 된다. 열사병·열경련 등 온열질환으로 인한 인명피해가 없도록 고령층과 취약계층에 대한 대책과 실행이 시급하다.

무더위에 노인들이 냉방 기기가 있는 노인정 등에 모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환경은 코로나 방역에 무척 취약하다. 방역이 강화된 수도권에선 노인정, 복지시설 등에 마련된 실내 무더위 쉼터가 폐쇄돼 감염 우려가 줄었다지만 무더위를 피할 곳이 없는 쪽방촌 등의 취약계층은 지치고 힘겹다.

폭염과 열대야에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 되는 상황에서 취약계층에 대한 보호대책이 시급하다. 쪽방촌 거주민에 대해선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냉풍기나 선풍기, 생수 지원 등을 꼼꼼히 살펴야 한다. 농촌 어르신들이 장기간 더위에 노출되지 않도록 마을 정자·그늘막 등을 야외 무더위 쉼터로 활용하는 방안도 확대돼야 하는데 코로나로 어려움이 크다. 효율적인 대책을 모색해야 한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열사병, 열실신 등 무더운 날씨로 인해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총 1천841명으로 이 중 71.2%(1310명)가 8월에 발생했다. 실외작업장이 32.5%(596명)로 가장 많고 논·밭 14.6%(269명), 길가 10.8%(198명) 순이다. 집에서 발생한 비율도 6.6%(121명)나 된다.

올 여름 폭염은 코로나 확진자가 급증해 취약계층이 다른 해보다 더 열악한 환경에 처해 있다. 기후변화로 재난이 된 폭염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특별한 관심과 지원이 절실하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