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교통공사가 오는 2024년이 수명연한인 인천 도시철도1호선(이하 인천1호선) 전동차(차량)의 단계적 교체를 추진한다.
24일 교통공사에 따르면 최근 30억원 규모의 ‘인천1호선 철도차량 최초 정밀안전진단 기술용역’을 발주했다. 교통공사는 이번 용역을 통해 2024년까지 차량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고 중정비 정기검사 및 일반정비 등 정밀진단을 한다.
지난 1999년 첫 시험운행을 시작한 인천1호선은 모두 200칸 차량과 입환기관차·사고복구차 등 특수차 2대의 수명(25년)이 오는 2024년까지다. 서울지하철도 25년을 사용하면 정밀진단 후 차량 교체 및 추가사용 여부를 결정한다.
교통공사는 이번 용역에서 2020년 차량 8칸(1편성)에 대한 진단을 시작으로 2021년 8편성, 2022년 9편성, 2023년 4편성, 2024년 3편성 및 특수차 2대에 대한 단계적 진단을 한다. 진단에서 나온 남은 수명에 따라 교체 여부 및 예산 배정을 위한 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교통공사는 현재 차량 1칸을 새로 교체하면 13억~15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추정한다. 이에 따라 현재 인천1호선에서 운영 중인 200칸을 전부 교체하려면 최대 3천억원의 예산이 필요하다. 교통공사는 상당수 차량의 조기 교체는 불가피 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별도로 교통공사는 인천1호선 노후차량 및 시설물에 대한 보수·교체 등도 추진하고 있다. 인천1호선 핵심장치인 견인인버터장치, 보조전원장치, 열차정보장치 등에 대한 국산화 부품 교체 등이다. 인천1호선은 제작시 주요부품 대부문을 외국에서 수입해 추가 주문제작 및 보수 등이 어려운 상태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2020년 279억원, 2021년 256억원, 2022년 280억원, 2023년 224억원, 2024년 273억원 등 5년간 모두 1천312억원의 공사채를 발행해야 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교통공사 관계자는 “이번 용역은 차량의 차체(객실) 및 대차(바퀴), 주요전기장치 등 전반적인 점검과 일부 정비 작업을 포함하고 있어 차량의 수명이 늘어날 수도 있다”며 “차량 교체가 필요하다는 결과가 나오면 별도의 예산을 세워 단계적 교체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승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