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 총장선거가 지역사회의 질타를 받으며 큰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국립대학법인으로서 특수성을 안고 출범한 거점국립대학이 자율성과 민주성을 크게 훼손하는 등 거버넌스에 치명상을 입고 회복에 고심하는 상황이다. 구성원이 원하지 않았고 시대 흐름에도 부적합한 간접선거방식으로 총장을 선출하는 원천적인 제도적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 것이 근본 원인이다.
그러나 제도적 한계보다 중요한 것은 이를 운영하는 조직과 구성원의 책임이다. 제도적 한계와 규정에 집착하면서 교수평의원회를 비롯한 학내의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행정 책임이 있는 이사회, 집행부는 무책임으로 일관하고 서로 비난만 하고 있다. 새 학기가 시작되면서 준비하고 해결해야 하는 많은 대학 행정이 총장선거 준비로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는데도 그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고 있는 것이 더 심각하다.
대학 내 최고 의사결정기구이면서 총장후보자의 최종 추천권을 가지고 있는 이사회는 긴급회의를 열고 재선거를 의결했다. 그리고 구체적인 진행방법은 현행 규정에 따라 총장추원위원회가 진행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형식적인 제도의 한계 범위 내에서 소극적인 책임만을 다하는 모습이다. 구성원에게 총장 부재 상황을 초래한 이사회의 책임을 사과하는 이메일을 발송한 것과는 괴리가 있는 무책임한 처사라는 비판을 받기에 충분하다. 이러한 이사회의 처사와 더불어 총장선거의 막중한 책임이 있는 총장추천위원회도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상황에 전적인 책임을 져야 함에도 개인의 입장만 강조하고 있어 구성원의 비난을 초래하고 있다. 나아가 새로운 총장선거의 시작을 지체하고 있다. 이에 더해 총장추천위원회 위원 선출에 책임이 있는 대학평의원회도 무책임하게 방관하면서 총장 재선거 지체에 일조하는 모습이다.
지역 거점 국립대학의 총장선거가 지역사회의 모범적인 거버넌스로 정립되어야 함에도 그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을 구성원 모두 직시해야 한다. 민주적인 절차와 과정을 그치고 그 결과에 대해서 승복하는 총장선거 문화를 스스로 만들어 가는 각고의 노력이 필요하다. 후보자들도 대학운영에 대한 철학과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해야 한다. 상대를 비난하는 허위사실의 유포와 악의적인 뜬소문을 활용하는 등의 구태에서 벗어나야 한다.
과도기 체제에서 막중한 책무가 있는 집행부는 어떤 과제보다도 우선해 총장선거가 조속히 치러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규정의 해석에 몰두하면서 직무대행체제를 연장하려는 늑장 행정의 오해를 받지 말아야 한다. 지난 잘못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의 신뢰를 회복하는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