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정원경기가든 부지에서 침출수로 의심되는 거품물이 발견돼 비상이 걸렸으나(경기일보 8월18일자 1면) 경기도와 안산시의 대책 마련이 지지부진해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다.
1일 경기일보가 장동일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장을 통해 조치 사항을 확인한 결과 도는 아직까지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 침출수 검사를 의뢰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지난달 17일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 일대 경기가든 부지 남측 구간에서 침출수로 의심되는 거품물이 발견됐다. 고약한 악취를 풍기며 음식물 찌꺼기에서 나온 듯한 색을 띠는 물은 갈대습지를 거쳐 시화호까지 유입되고 있어 수질 오염은 물론 생태계 파괴까지 우려됐다.
당시 도는 침출수 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맞는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2주가 넘도록 오염도 측정은 물론 침출수 여부조차 확인하지 않은 것이다.
1천억원에 달하는 예산이 투입되는 경기가든 조성 사업이 추진 중인 자리는 과거 시화 쓰레기매립지 터로, 1994년 쓰레기 매립을 종료하고 20여년에 걸친 환경안정화 작업을 거쳤다. 그러나 2013년에도 메탄가스를 비롯한 오염 물질이 배출허용기준을 크게 초과하는 침출수가 나오는 등 문제가 반복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안산시도 대책 마련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시는 해당 부지의 책임 주체가 경기도인 탓에 나서기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상황이 이렇자 지난 5월 안산환경재단에서 갈대습지 점검과 더불어 경기가든 부지의 토양 오염도 등을 측정하겠다는 의사를 전했지만, 이 역시 의견 조율에 난항을 겪다가 무산됐다.
시설 완공 시 가장 큰 수혜자는 안산시로 예상된다. 경기가든 기본계획 용역에 따르면 완공 후 생산유발 1천980억원, 고용유발 1천576명 등의 효과와 연간 약 160만명의 관광객 유입으로 주변 상권 활성화 효과까지 기대된다.
결국 경기가든으로 인한 피해와 혜택 모두 안산시가 안고 가야 하는 상황. 일각에서는 시가 대책 마련에 적극적으로 나서도 모자란 상황에서 사실상 책임을 미루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대해 안산시 환경교통국 관계자는 “오염도 측정의 필요성을 인정한다”며 “사태를 파악해보고 도에 협조를 요청하거나 대책을 마련해보겠다”고 말했다.
경기도 공원녹지과 관계자는 “아직 검사 의뢰는 하지 않았지만 침출수로 의심되는 물이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빠지도록 배관을 연결하는 등 조치를 취했다”며 “곧 태풍의 영향으로 비가 내릴 예정이니, 이후 거품물을 채취해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 검사를 의뢰하겠다”고 밝혔다.
구재원ㆍ장희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