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이 2일 ‘국민의 힘’으로 당명 교체를 확정했다.
통합당은 이날 전국위원회를 열고 당명 변경을 포함한 당헌 개정안과 기본소득과 경제민주화, ‘광역자치단체장과 교육감 러닝메이트제 도입’ 등을 담은 정강·정책 개정안을 일괄 의결했다.
당의 간판을 바꾼 것은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5월27일 취임 후 99일만이며, 2월17일 통합당 출범일을 기준으로 하면 198일만에 이뤄진 것이다. 김 위원장은 3일 ‘국민의힘’ 간판으로, 비대위원장 취임 100일을 맞게 됐다.
‘국민의힘’이라는 당명은 ‘국민으로부터 나오는 힘’, ‘국민을 위해 행사하는 힘’, ‘국민을 하나로 모으는 힘’이라는 세 가지 의미를 담고 있다는 것이 당의 설명이다.
김 위원장은 이날 전국위에서 앞서 인사말을 통해 “정강정책과 당명개정은 국민 신뢰를 되찾고 당의 집권역량을 강화하는데 큰 기둥으로 세워질 것”이라며 “이제 국민의힘이 굳건하게 일어나 민생정당, 대안정당, 수권정당으로 국민과 함께 국가위기 극복을 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우리당이 왜 위기상황에 놓여있는지 문제를 찾아 고쳐야 하고 과거 우리당이 시대변화에 뒤쳐진 정당, 기득권 옹호 정당, 이념에 치우친 정당, 계파로 나눠 싸우는 정당 등 부정적 이미지가 매우 강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이제 시대변화를 선도하고 국민과 호흡하는 정당으로 거듭나야겠다”면서 “약자와 동행하며 국민통합에 앞장서는 정당으로 체질을 바꿔나갈 것이다”고 혁신 의지를 피력했다.
이날 전국위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ARS 투표 방식으로 오전 11시부터 오후 3시까지 진행됐으며, 전국위원 578명이 참여했다. 투표 결과 ‘모두의 내일을 위한 약속’과 ‘10대 약속’으로 구성된 정강정책 개정은 92%, ‘국민의힘’ 당명 개정은 90%, 상설위원회인 국민통합위, 약자와의동행위 등 특위 설치는 96%의 찬성을 받았다.
초안에 담았던 ‘국회의원 4선 연임 제한 추진’과 ‘기초의회·광역의회 통폐합’은 전날 비대위원회와 의총 논의 끝에 제외돼 전날 상임전국위 안건에서 제외됐다.
배준영 대변인(인천 중·강화·옹진)은 논평을 내고 ““코로나19의 국가위기 상황 속에서, 미래통합당이 ‘국민의힘’으로 다시 태어났다”며 “국민의 힘으로 자유, 민주, 공정, 법치를 되살리며 자유민주주의를 실천하겠다”고 밝혔다.
배 대변인은 이어 “약자와 동행하는 정당, 진취적인 정당이 되겠다. 누구나 함께하는 정당으로 새롭게 거듭나겠다”면서 “국민만 바라보고, 국민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국민과 함께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