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마지막 협궤철도였던 수인선이 25년 만에 인천과 수원, 분당, 서울 등 수도권 서남부지역을 연결하는 광역철도로 다시 태어났다.
10일 국토교통부와 인천시에 따르면 수인선(수원~인천 복선전철)의 마지막 3단계 구간인 수원역~안산 한양대앞역 노선(19.9㎞) 등 전 구간(52.8㎞)이 오는 12일 개통한다. 지난 2012년 6월 1단계 구간인 오이도~송도 노선(13.1㎞), 2016년 2월 2단계 구간인 송도~인천 노선(7.3㎞)이 먼저 운행에 들어간 데 이어 남아있던 3단계 노선도 운행을 시작한다.
지난 1937년부터 1995년까지 운행한 종전의 수인선은 표준궤도(1.435m)의 절반에 불과한 우리나라의 마지막 협궤철도다. 이후 국토부는 2조74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25년 만에 수인선의 전 구간을 표준궤도 광역철도로 개량했다.
이 과정에서 시는 분당선과의 직접 연결 운행 및 오이도역 평면환승 등을 추진해 시민이 편리하게 철도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했다.
이에 따라 수인선의 전 구간 개통은 인천과 경기(남부), 서울 등 수도권 서남부지역을 잇는 광역철도망이 만들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당장 인천과 수원 간의 철도 이동시간은 90분에서 55분으로 35분 줄어들었고, 분당선(수원역~청량리역)을 통해 청량리역까지 원스톱으로 이동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또 1호선(인천역·수원역), 2호선(선릉역), 3호선(도곡역), 7호선(강남구청역) 등을 갈아탈 수 있다.
특히 일부 노선을 공용하는 인천발 KTX와 청학역 신설 등의 현안이 달린 제2경인선 등도 수인선의 전 구간 개통으로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수인선이 25년 만에 광역철도로 달리게 돼 시민의 철도 이용이 대폭 개선됐다”며 “앞으로도 시민의 눈높이에 맞는 철도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어 “앞으로도 인천발 KTX, 월판선, 제2공항철도 등 인천을 전국과 사통팔달로 연결하는 철도교통체계 구축에도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토부는 이날 수원 고색역의 개찰구에서 김현미 장관, 박남춘 인천시장, 이재명 경기도지사, 염태영 수원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수인선의 전 구간 개통을 기념하기 위한 행사를 했다. 김 장관은 이 자리에서 “수인선의 전 구간 개통으로 인천과 경기 서남부 지역이 더욱 가까워진다”며 “앞으로도 광역교통망 확충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