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15일 업무상 횡령·배임, 준사기 등 8개 혐의로 더불어민주당 윤미향 의원(비례)이 불구속 기소된 것과 관련, 대조적인 반응을 보였다.
민주당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한 가운데 당 윤리감찰단을 구성해 윤 의원 문제를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국민의힘은 윤 의원의 사퇴를 촉구하고 국회 윤리위 제소도 검토하겠다며 공세를 폈다.
민주당은 끊이지 않는 비례대표 의원을 둘러싼 잡음에 곤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했다. 개원 전 양정숙 의원은 제명으로 마무리했으나 윤미향·김홍걸 의원으로 이어지며 여론의 비판을 받아 “가지 많은 나무에 바람 잘 날 없다”는 탄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윤 의원의 경우 지난 5월 정의연(정의기억연대) 후원금 회계 누락 의혹 등으로 정국을 뒤흔든 지 4개월 만에 재판에 회부돼 당혹스러운 상황이다.
당 지도부는 일단 윤 의원에 대한 발언을 자제하면서 윤리감찰단 구성 의사를 피력했다. 이낙연 대표는 이날 본회의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윤 의원 문제에 대한 당의 입장을 묻는 질문에 “곧 나올 것”이라면서 “내일(16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당헌·당규에 따르겠다”고 밝혔다.
이어 이 대표는 “8월29일 전당대회를 기해서 새롭게 도입한 윤리감찰단이 내일 구성될 것”이라며 “그것과 연결지어서 최고위에서 논의하겠다”고 덧붙였다. 민주당은 16일 최고위 회의에서 박광온 사무총장(수원정)으로부터 윤 의원 건에 대한 보고를 받고 윤 의원이 요청한 ‘당원권 정지’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의힘과 국민의당은 민주당 윤 의원의 사퇴를 한목소리로 촉구했다.
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주로 위안부 할머니들과 관련된 정의연 활동 때문에 비례대표로 추천이 됐는데 정작 그 활동 과정에 이렇게 불법이 많았으니까 비례대표로 추천될 명분이나 이유가 전혀 없어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윤리위원회에 이 문제를 제소하는 것을 검토하겠다”면서 “의원이 되기 전의 일이지만 기소로써 의원의 명예를 손상시키고 품위를 손상했다”고 지적했다. 또 그는 ‘안성쉼터 고가매입 의혹’이 검찰 발표에서 빠진 것에 대해 “검찰이 수사하는 것처럼 봐주기 하는 것이라고 단정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국민의당 안혜진 대변인도 논평을 내고 “윤 의원은 국민 화병 돋우지 말고 자진 사퇴하라”면서 “민주당 내 당직을 다 사퇴하면서까지 자신의 범죄행위에 대해 투쟁을 해야 할 사람이 왜 세금 축내면서 국회에 있나”고 반문했다. 그는 또한 “과거 적폐가 무색할 정도의 파급력을 보여주고 있는 신적폐의 양상에 썩은 물의 악취가 국민의 심장을 갉아먹고 이 땅의 정의는 기대할 수 없게 된 책임은 인면수심 윤 의원을 품에 감싸고 있는 집권 여당의 태도와 정부에 그 책임이 있다”고 비판했다.
김재민·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