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권주자 이재명 국정감사’ 벼르는 중앙정치권

이재명 경기도지사. 경기일보 DB

한 달 앞으로 다가온 경기도 국정감사가 ‘대권 주자 이재명 경기도지사’를 중심으로 뜨겁게 달아오를 전망이다. 야당 측의 맹공은 물론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와의 대권 경쟁 구도 속에서 여당의 견제구도 나올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경기도는 “10월7~26일 중 진행될 올해 국정감사가 아직 한 달여 남았으나 벌써 300여건의 자료 요청이 접수, 해당 실ㆍ국과 관련 논의로 매우 분주하다”고 16일 밝혔다.

올해 국감은 21대 국회 첫 국감으로 전국 최대 지자체이자 이재명 지사가 있는 경기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최종 자료 요청 건수도 지난해 1천200여건을 훌쩍 넘을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문의 자료도 이재명 지사의 핵심 정책이 다수 포함됐다. 여야 상관없이 의원들은 지역화폐 발행량ㆍ사용 업종, 청년기본소득(경기도 자체 기본소득 정책) 등에 대한 자료를 요구했다.

경기도가 복수의 상임위로부터 국감을 진행할지도 관심이다. 아직 구체적인 국감 일정ㆍ형태가 공지되지는 않았지만 매년 수감했던 행정안전위원회는 물론 2016년 이후 처음으로 복수의 상임위(국토교통위원회ㆍ환경노동위원회ㆍ보건복지위원회 등)가 경기도를 찾을 수도 있다. 지난해에는 10월18일 행안위만 경기도 국정감사를 진행했다.

이처럼 경기도 국감이 주목받으면서 공직사회는 우려를 토로하고 있다. 이미 코로나19 방역으로 반년 이상 격무가 이어져 공무원들이 육체적ㆍ정신적 한계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경기지역본부 경기도청지부는 전날 국회에 공문을 발송해 “(국감 예정일은) 추석 연휴 집중 방역이 필요한 시기니 국감 중단을 요청한다”고 강조했다. 경기도청공무원노동조합 역시 오는 17일 국회 정문에서 관련 기자회견을 연다.

익명을 요구한 지역정치인은 “이재명 지사 취임 이후 2차례 경기도 국감이 큰 주목을 받았는데, 올해는 대권 주자 시험대로 더 관심을 끌 것”이라며 “여당도 ‘무조건 방어’보다 틈새 공격을 벌일 수도 있다”고 예측했다.

한편 코로나19가 아직 이어지는 만큼 ‘온라인 국감’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국회의원, 공무원, 언론 등 통상 수백명이 한 공간에 모이는 국감 특성상 감염병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관련 논의는 정부 추경안 처리가 마무리된 22일 이후부터 본격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장건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