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공동번영’ 담론의 장 DMZ 포럼 성료…이해찬 “평화 거버넌스 구축 필요”

DMZ포럼 라운드테이블. 경기도 제공

한강하구 공동위원회 구성, 평화지역 설치 및 육성을 위한 기본법 제정 등 DMZ를 평화의 상징으로 전환하기 위한 국내외 석학들의 제안들이 ‘2020 DMZ 포럼’에서 나왔다.

9ㆍ19 평양 남북공동선언 2주년을 맞아 경기도가 주최하고 경기연구원, ㈜킨텍스, (사)동북아평화경제협회, 한반도종전평화캠페인이 공동 주관한 이번 포럼에는 17일부터 18일까지 전문가, 평화NGO 등 90여명이 참여했다.

포럼은 ‘DMZ는 평화를 원한다’라는 주제로 ▲DMZ의 역사적 가치와 보전 등을 다룬 ‘기획세션’ ▲평화운동NGO가 참여한 ‘평화운동 협력세션’ ▲한강하구의 평화적 활용 등을 논의한 ‘특별세션’ ▲남북 과학기술 협력 등을 다룬 ‘초청세션’ 등 다양한 논의로 진행됐다.

특히 한반도의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공간으로 DMZ나 한강하구와 같은 ‘접경지역’을 주목, 이를 평화협력과 남북 공동번영의 중심으로 만들기 위한 다양한 시각과 대안이 제시됐다.

이정훈 경기연구원 북부연구센터장은 “서해-경기만 한강하구권역을 남북 공동번영의 중심이자 성장 엔진으로 삼아야 한다”며 “남북이 공동번영의 비전을 공유함으로써 새로운 국면을 열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포럼 둘째 날 열린 ‘평화운동 협력세션’에서는 이해찬 동북아평화경제협회 이사장이 온라인 특별강연자로 나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민간단체가 함께 협력하는 한반도 평화 거버넌스 구축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해찬 이사장은 이날 강연에서 “한반도 평화의 큰 틀을 만들어가는 것은 한국과 북한, 미국, 중국 등 이해관계가 있는 각국 정부지만 동시에 지방정부와 시민단체, 경제단체, 전문가들의 역할도 매우 크고 중요하다. 정부가 큰 구조를 만들 때 그 구조를 실질적으로 채워나가고, 지속 가능하게 만드는 것은 지방정부와 민간의 일이기 때문이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이사장은 ”오늘 평화협력 세션에서 보듯 ‘평화과정에서의 여성참여’, ‘남북 접경지역 주민의 안전’, ‘미군기지로 인해 발생하는 주민 불편’ 등 주민들의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부분들은 정부가 간과하기 쉬운 일들”이라며 “다양한 민간단체가 참여할 때 그 범위가 넓어지고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어 이 같은 부분들을 보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재강 경기도 평화부지사는 포럼을 최종 정리하는 라운드테이블을 통해 “DMZ 포럼이 세계 평화단체가 한데 모여 다양한 논의를 할 수 있는 구심점이 되길 바란다”며 “분단의 땅 DMZ가 평화의 장이 되고 세계인이 모이는 축제의 장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DMZ 포럼은 홈페이지를 개설한 7일부터 폐회된 18일까지 총 21만6천여명이 온라인 플랫폼을 찾은 것으로 집계됐다.

김창학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