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전용 유튜브 개설…신종수법, 피해구제, 재기지원 등 설명
중학생 A군은 최근 ‘대리입금’을 했다가 큰 낭패를 봤다. 평소 좋아하던 아이돌의 콘서트 티켓대금을 대신 입금해준다는 SNS 광고를 본 후 자신의 개인정보를 알려주고 ‘대리입금’을 받았다. 업자가 10만원을 대신 입금하면 3일 뒤 수고비 1만원을 더해 돌려주는 조건이었다. 사실 대리입금은 연리 수백~수천%에 달하는 불법사금융이었다. 업자는 A군이 돈을 갚지 않자 이 사실을 가족에게 알리겠다고 협박했다.
22일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경찰청 등은 불법사금융 예방을 위한 유튜브채널 ‘불법사금융 그만!’ 개설했다고 밝혔다.
채널은 ‘대리입금’ 이외도 ‘내구제대출’, ‘상품권깡’ 등 불법사금융의 신종수법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또 실제 정책을 담당하는 직원이 등장해 피해 방지를 위한 행동요령, 채무자대리인 및 무료변호사 지원프로그램을 소개한다. 피해자가 한 번에 피해구제 신청을 할 수 있게 방문·온라인 신청하는 전체 과정도 영상에 담았다.
재기지원 코너에서는 고금리채무로 고통받는 소비자가 정상적으로 경제생활이 가능한 수준으로 채무를 조정하는 채무조정 절차를 담당 직원이 대담형식으로 소개한다. 서민금융·재활자금 지원 코너는 전통시장상인·영세자영업자·저신용자·차상위계층 등을 위한‘소액대출 지원사업’, ‘햇살론 17’ 등의 서민금융상품의 지원내용을 알려준다.
정부 관계자는 “해당 채널은 불법사금융을 (다시)이용하지 않도록 하는 데에도 중점을 뒀다”라면서 “앞으로 신종수법 등 정보를 지속 업데이트하는 등 채널을 피해예방의 중심채널로 키워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지난 6월 정부는 대통령 주재 반부패정책협의회 논의를 거쳐 관계부처 합동으로 불법사금융 종합 근절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연말까지를 ‘특별근절기간’으로 정하고, 청와대 주관의 범부처 T/F를 정례화했다. 이후 관계부처는 불법사금융 일제단속·피해구제·불법시도차단 등 전 단계에 걸쳐 대응했다.
6월부터 8월까지 경찰, 특사경 등은 불법사금융업자 861명을 검거했다. 과기부·방심위·금감원·경기도 등은 불법광고 7만6천532건을 적발·차단하고 전화번호 2천83건 이용중지시켰다.
민현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