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의 자살 신고가 월 700여건에 달하지만 휴일·야간의 자살 예방 인력은 3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 예방 상담, 출동 등의 업무가 차질을 빚으면서 인력 확충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인천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4월에 445건이던 극단적 선택 신고는 꾸준히 증가해 지난 7월 725건으로 늘었다.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생활고와 코로나 블루 등을 호소하면서 극단적 선택 관련 신고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인천지역에서 휴일과 야간에 유일하게 문을 여는 인천정신건강복지센터(센터)의 응급게이트팀은 3명 뿐이다.
센터는 자살 충동 등을 느끼는 시민을 대상으로 24시간 상담하고, 경찰관 및 119 구급대원이 1차 구조 후 ‘응급위기 개입’을 요청하면 현장에 출동해 정신과적 평가와 상담을 지원한다.
특히 센터에는 1일 평균 65건의 상담 전화가 오고 있어 3명이 감당하기엔 역부족이다. 2인1조로 출동해야 하는 매뉴얼에 따라 1개 팀이 출동하면 상담 전화를 받을 수 있는 직원이 1명뿐이라 원활한 응대가 어렵다.
인천지역 한 경찰관은 “늦은 밤이나 새벽에 술을 먹고 자살 시도를 하는 사람이 많아서 광역센터에 자주 도움을 요청하는데, 전화를 받지 않거나 받아도 현장에 못 온다고 한다”고 했다. 이어 “자살 시도자들은 심리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대화가 안 되는 경우가 많아 심리 안정을 위해 상담사의 도움이 절실하다”며 “자살 충동을 느낀 사람이 전화를 했는데 먹통이면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는 것 아니냐”고 덧붙였다.
전문가는 충동적인 선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센터의 접근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최명민 백석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자살은 충동성이 크기 때문에 위기의 순간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의 여부가 굉장히 결정적이고 중요하다”며 “자살 예방 센터가 24시간 문을 열어놓는 이유가 있는데, 언제나 접근 가능하지 않다면 있을 이유가 없다”고 꼬집었다.
시 관계자는 “최근 야간 당직 인력을 1명 충원하기 위해 모집 공고를 냈다”며 “각 군구에 있는 센터와 협력해서 자살 예방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했다.
김보람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