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가로 막힌 방과후학교 지원..."학원에서라도 쓸 수 없을까요?"

“방과후 자유수강권을 학원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면 안 되나요?”

중학생 자녀를 둔 김혜원씨(42)는 저소득층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을 받고도 씁쓸한 마음을 감출 길이 없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공교육이 문을 걸어잠그면서 사용처 하나 없는 상황이 됐기 때문이다. 여느 부모들은 사교육으로 눈을 돌리고 있지만 김씨 형편상 비싼 학원비는 큰 부담이자 고심 거리로 남아 있다.

28일 교육부에 따르면 교육 당국은 기초생활수급자, 법정 차상위 대상자, 한부모가정 등 자녀의 실질적인 교육기회를 확대하고 계층 간 교육격차를 완화하고자 1인당 연간 60만원 이내에 해당하는 저소득층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을 지원하고 있다.

수강권은 초ㆍ중ㆍ고 학생들이 학교나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방과후 수업을 신청하면 담당 교육청이 해당 기관으로 수강권에 대한 예산을 지급하는 구조다.

그러나 최근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상당수 일선 학교들이 방과후 수업을 취소하면서 공교육 활성화를 꾀했던 방과후학교의 본질이 무색해진 상황이다.

특히 지난해 경기도에서 5만9천350명의 학생들이 수강권을 지원받았다. 지원 금액은 213억원 규모다. 반면 올해는 지난해 대비 지원금 규모가 5분의 1 정도에 그치는 실정이다. 혜택을 받은 학생은 8천967명으로 지원금 규모는 49억원에 불과하다. 방과후학교를 운영 중인 학교도 지난해 2천39개교에서 올해 256개교로 대폭 감소했다.

수원 A초교의 경우 코로나19가 발생하자 올해 방과후학교 수업을 무기한 잠정 중단한 상태다. 이로 인해 지난해 저소득층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의 혜택을 받던 30여명의 학생들은 공교육의 테두리에서 벗어나게 됐다. 용인의 B초교 역시 지난 5월부터 방과후학교 수업을 잠정 중단돼 학부모들의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

B학교 관계자는 “학교가 문을 닫자 많은 학생들이 학원으로 쏠리고 있다”면서 “공교육이 제역할을 못하는 상황이 그저 안타깝기만 하다”고 말했다.

이처럼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이 무용지물로 전락하자 학부모들은 학생 간 교육격차를 우려하며 저소득층 학생들의 교육권 보장과 대안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코로나19 감염 우려와 방과후학교 신청 수요 부족 등 다양한 이유로 정상화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관련 예산은 학교 방역이나 긴급 돌봄 등에 대거 투입되고 있다”고 전했다.

김현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