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는 안정적 하수처리를 위해 국ㆍ도비 등 648억원을 들여 증설한 경안 공공하수처리시설을 오는 12일부터 가동한다.
6일 시에 따르면 남한산성면 하번천리 일원에 위치한 경안 공공하수처리시설은 인구증가와 지역개발사업 등으로 하수 발생량이 증가하면서 하루 처리용량 4만t에서 7만1천t으로 증설, 현재 시운전 중이다.
시는 경안처리장 증설사업으로 지역 내 처리장 13곳을 연계하기 위한 하천 내 차집관로 설치공사(신설 6.5㎞)를 병행했다. 우기 안전 확보를 위해 지난 5월 차집관로공사도 준공검사를 마쳤다.
광주시 하수도정비기본계획에 따른 단계별 공공하수처리시설 확충사업으로 증가하는 하수발생량에 맞춰 증설했다.
이번에 증설된 3만1천t 규모의 공공하수처리시설공사는 최소 36개월 이상 소요되나 이번 경안처리장 증설공사는 24개월여 만에 사용하게 됐다.
시는 하수처리용량 부족으로 각종 도시개발 관련 사업이 어려움을 겪으며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 공사기간을 단축했다.
경안처리장 증설사업 사용 개시로 팔당호 수질개선과 발생 하수의 효율적 처리가 기대돼 주민 정주여건 개선에도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광주시 전체 하수처리구역이 74.9㎢에서 82.3㎢으로 확장되고 5천620가구의 대지와 6천870필지의 전답 등이 하수처리 외(外)지역에서 내(內)지역으로 편입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하수처리장 직관 연결이 가능해 기존 정화조가 폐쇄돼 유지관리비가 처리시설 당 연간 150만원이 절감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하수처리구역 편입으로 각종 개발사업 입지여건이 마련되고 계획 관리지역에선 휴게음식점과 일반음식점, 제과점 등의 입지가 가능하게 됐다.
시 관계자는 “지속적으로 하수도 기반시설을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광주=한상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