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수원의 한 아파트 단지에서 발생한 정전 및 단수사태 이후 대응 매뉴얼이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아파트 관리사무소를 비롯해 지자체, 소방당국의 대처가 극히 미흡했기 때문이다.
11일 한국전력공사와 입주민 등에 따르면 지난 9일 오전 3시50분께 수원시 영통구 소재 아파트 단지에서 변전실이 침수돼 1천380가구 전체가 정전되고 수돗물 공급이 중단됐다. 한전은 아파트 상수도 설비문제로 지하에 있는 변전실이 물에 잠겨 전기가 끊긴 것으로 보고 있다.
입주민들은 24시간 이어진 정전 및 단수사태에도 명확한 사고 수습 주체의 부재는 물론 복구 상황보고 등에 대한 전달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자 큰 혼란을 겪었다.
게다가 사유지인 아파트 단지에 지자체가 생수 등 물품을 지원하면 선거법에 저촉된다는 이유로 급수 지원이 지연되면서 주민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수원시가 급수차 3대와 330㎖ 생수 5천병을 지원해주기 전까지 주민들은 물도 제대로 마시지 못하고 화장실조차 가지 못하는 불편을 겪었다.
상황이 이렇자 아파트 정전사태에 대한 명확한 사고 수습 주체와 대응 체계 마련을 요구하는 주민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주민 조모씨(44)는 “밤 늦게까지 전기가 안 들어오는데 어느 누구 하나 나서서 설명해주는 사람이 없었다”며 “지자체에서 사고 대응 메뉴얼을 만들어 아파트 단지마다 비치하고 교육하는 등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안혜영 경기도의원(더불어민주당ㆍ수원11)은 “아파트 단지 내 사고에 대한 메뉴얼이 부실함이 드러난 사고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며 “입주민 대표로 구성된 간담회를 통해 여러 사례를 종합하고 이에 맞는 대응책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아파트는 정전 하루 만인 10일 오전 4시께 복구 작업이 끝나 전기 공급이 재개됐고, 수돗물 공급은 11일 오전 11시부터 정상화됐다.
김현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