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회가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2단계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인천시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지나치게 연세대에 끌려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강원모 시의원(더불어민주당·남동4)은 지난 16일 열린 제266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연세대 국제캠퍼스 2단계 조성 사업 협약의 핵심은 2024년까지 세브란스병원 개원인데, 이를 시가 강제하지 못한다면 현 시정부를 비판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 의원은 “지난해 산업경제위원회 의원과 함께 연세대의료원 사람을 만나 송도세브란스병원 건립을 확실히 하자고 다짐했다”며 “하지만 1년이 지나도록 설계계약을 안했고 이제 겨우 계약했더라도 내용을 밝히지 못한다고 한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지적에 박남춘 시장은 “지난달 말 전체 사업 계획서를 제출받았다”며 “최대한 신뢰를 가지고 최선을 다해야한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고 답했다.
이와 함께 시의회는 시의 자원순환 정책 등 인천의 주요 현안에 대한 질의도 이어갔다. 김종인 시의원(민·서3)은 자원순환 정책과 관련해 시가 추산한 서구의 자체 처리 소각장 시설용량과 서구가 직접 추산한 시설용량의 차이에 대해 질의했다.
김 의원은 “서구에서도 자원순환 선도도시 구축을 위한 통합대책을 마련 중이고 곧 결과가 나올 것”이라며 “2025년 기준으로 서구의 소각량이 1일 200t이면 충분한데, (소각장을)신규건립 한다면 약 400t이 넘는 규모의 청라소각장을 폐쇄하는게 당연하다”고 했다.
이에 대해 박 시장은 “소각장이 오래가는 비결이 뭐냐면 항상 100% 가동하면 안된다”며 “그런 것을 감안해 소각장 용량이나 규모를 논의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