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와 인천경제청의 연세대에 대한 특혜시비가 끊이지 않으면서 시의 단호한 대처를 지역사회가 요구하고 있다. 지난 16일 열린 인천시의회 임시회에서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건립에 대한 질의응답에서 박남춘 시장의 답변이 그 발단이다. 박남춘 시장은 세브란스병원 건립무산을 우려하는 지적에 “연세대의 병원 건립 의지를 최대한 신뢰하고 있다”라고 밝히면서 연세대에 대한 신뢰를 보였다. 연세대가 지역사회에 약속한 여러 사업이 번번이 번복되고 지체되는 가운데 시정의 최고 책임자는 다른 생각을 하는 것이다.
연세대에 대한 인천 시정의 분위기는 혁신돼야 할 사항이다. 인천시와 인천경제청이 알면서도 적극 대처를 못 하고 눈치만 살피면서 지역사회의 질타를 임기응변으로 회피하는 모습이 매우 낯설지 않은 서글픈 현실이다. 10년 동안 병원 건립 약속을 지키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단호한 대처 없이 11공구에 추가로 부지를 배정하였다. 배정한 11공구 부지에 용적률 상향과 용도변경 등을 요구해 주상복합용지의 주거용지 비율을 10%로 올려 주기도 했다.
불공정하고 특혜시비까지 안고서 추진한 국제캠퍼스 2단계 조성사업 중 송도 세브란스병원 건립은 현재 약속이행이 불투명하다. 지역사회의 강력한 요구로 2024년까지 개원을 약속했으나 설계를 지체하는가 하면 뒤늦게 체결한 건축설계 계약 내용조차도 공개하지 않고 있다. 이럼에도 인천시장이 나서서 시의회에서 공개적으로 신뢰 발언을 하고 옹호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처사이다.
시의회를 중심으로 연세대에 대한 단호를 조치를 주문하면서 약속이행을 촉구했지만, 번번이 번복되는 것은 더 용납돼서는 안된다. 병원 건립을 담보로 한 연세대의 ‘양치기 소년놀음’에 끌려가는 인천 시정에 단호한 혁신적 조치가 필요하다. 단지 정치적인 수사만 반복할 것이 아니라 법적이고 실무적인 구속력을 갖추고 실천할 수 있는 보완이 필요하다. 지역사회의 지지를 받는 안전조치를 확실하게 마련해야 과거 불이행의 악순환을 단절시킬 수 있다.
연세대가 약속한 송도 세브란스병원 건립은 지역의 최대 현안으로써 정치적인 타협의 대상이 될 수 없고 조속한 약속이행에 매진해야 한다. 담당 실무자들이 정치적인 요소를 고려하지 말고 도시 행정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시정의 기반과 강력한 리더쉽을 발휘해야 할 때다. 시정의 최고 책임자인 시장의 애매한 입장으로 실무자들의 재량권을 넘어 눈치를 보게 하는 행정의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 인천시장의 단호한 결단을 기대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