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혈관 막혀서 뇌 손상되는 질환 치료 하더라도 만성 후유증 남아
한쪽 팔·다리에 힘이 없어지는 등...전조 증상시 병원서 치료 받아야
■ 뇌혈관 막혀 뇌 손상… 동맥경화 유발하는 질병 발병 요인
뇌경색은 뇌혈관이 막혀서 뇌가 손상되는 질환으로 뇌졸중의 80%를 차지한다. 심각한 경우에는 사망에 이를 수 있을 뿐 아니라 치료를 하더라도 정상적인 생활을 하기가 어렵다. 신체장애가 동반된 만성 후유증을 남길 수 있어 전조증상과 예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뇌경색은 혈관에 혈전이 생기면서 서서히 또는 갑작스럽게 뇌혈관을 막아 주로 나타난다. 동맥경화를 일으킬 수 있는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 흡연 등이 주요 발병요인이다. 또 55세부터는 10년 단위로 뇌경색 위험성이 2배 이상 증가해 노화도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문제는 뇌경색이 어떠한 이상 징후 없이 갑자기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라는 점이다. 뇌경색의 증상을 살펴보면 △신체 한쪽 팔, 다리에 갑자기 힘이 빠지거나 둔해짐 △얼굴 반쪽의 감각이 둔해져 표정이 자유롭지 않음 △주변 시야가 좁아지고 물체가 여러 개로 겹쳐 보임 △동작이 서툴고 물건을 집는 등의 섬세한 움직임이 어려움 △심한 두통과 구토 등이 있다.
■ 전조 증상 놓쳐선 안 돼… 겨울철 보온도 신경 써야
뇌조직은 산소와 혈액공급에 매우 민감해 혈액이 공급되지 않으면 몇 분내에 세포 괴사가 일어난다.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고 병원으로 가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뇌경색은 발병 원인이 혈전의 문제인 만큼 혈관 건강을 위해 평소 신경 써야 한다. 지나친 과로와 스트레스는 피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게 중요하다. 염분이 높거나, 콜레스테롤이 높은 음식은 삼가며, 채소 및 과일, 생선을 섭취하는 등 바른 식습관으로 성인병을 예방해야 한다.
겨울철에는 특히 실내외 기온 차로 혈관이 수축하며 혈류순환에 장애가 올 수 있어 보온에 신경을 쓰도록 해야 한다. 흡연을 하거나 비만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부정맥 등 뇌경색 위험질환이 있다면 발생확률이 높으니 반드시 체중관리와 함께 금연과 금주를 실천하고, 주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위험요소 관리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안철민 한국건강관리협회 경기도지부 건강증진의원 원장은 “최근에는 진단기술이 발전해 뇌 MRI, MRA 등의 검사로 뇌혈관이 좁아졌거나 막혔는지를 바로 파악할 수가 있다”며 “이상이 있는 경우 아스피린과 같은 혈전예방제 복용이나 스텐트 시술로 뇌경색 발병 위험을 크게 낮출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요즘처럼 기온 차가 클 때 중장년층 이상은 뇌혈관 계통 질환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겨울철 기온이 내려가면서 몸의 혈관이 급격히 수축하고 혈압이 상승해 뇌경색의 위험도가 커진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