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정보 공개 고도화 및 경보시스템 구축 본격화
인천시가 지난해 불거진 ‘붉은 수돗물(적수)’ 사태 등으로 추락한 시민의 신뢰를 회복에 나선다.
4일 시에 따르면 상수도사업본부는 사업비 5억원을 투입해 ‘수돗물 수질정보 공개 고도화 및 경보시스템’ 사업을 추진한다.
시는 세부적으로 누구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오픈 API를 통해 지도 기반의 공개 웹을 구축한다. 이 웹에서는 지도 위에 표시한 수질 측정값, 공사 정보, 급수경로 등을 시민 모두 볼 수 있다. 또 시는 웹과 연계한 수질데이터 공유시스템을 만든다. 이 시스템을 통해서는 수질데이터 통계 확인, 염소농도 예측 등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측정소별 수질감시 등을 통한 빠른 현장대응이 가능하다.
특히 시는 수운영시스템과 이어진 내부감시 수질관리시스템의 구축도 추진한다. 수운영시스템은 상수도 시설물에 대한 통합 감시가 가능한 운영시스템이다. 이 밖에 수질데이터 경보시스템을 통해 수돗물에 문제가 생기면 문자메시지를 발송하는 서비스가 이뤄진다. 이들 시스템은 구축과 동시에 상수도사업본부 수질안전부가 전체를 총괄한다.
앞서 지난 2019년 5월 30일 공촌정수장 원수를 공급하는 풍납취수장과 성산가압장이 정기점검으로 가동을 멈춘 이후 인근 정수장 정수를 수계전환하는 과정에서 서구 등 공촌수계권역에 혼탁수가 들어와 적수 사태가 발생했다. 이후 같은해 8월 5일 시민의 의견이 들어간 보상안을 결정하고 정상화를 선언하기까지 68일을 보냈다. 이어 올해 7월 초엔 수돗물 유충발생 사태가 발생했고, 전문가 합동정밀조사단의 조사에선 공촌·부평정수장에 해충 유입방지 시설이 없는 것으로 드러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시는 시민이 쉽게 수돗물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 이번 사업의 추진을 결정했다.
시 관계자는 “철저한 수질감시가 이뤄지는 것은 물론 모두 시민에게 공개하는 이번 시스템이 만들어지면 시민에게 수돗물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