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봄공백 현실화…전담사 파업에 교육청, 학교마다 대체 공문

인천지역 초등돌봄전담사 100여명이 6일 전국 ‘돌봄파업’에 동참하기로 하면서 돌봄대란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

5일 학교비정규지기연대회의는 민주노총 대회의실에서 총파업 선포 기자회견을 하고 돌봄교실 공공성 강화 등을 이유로 파업에 나서기로 했다. 이들은 17개 시·도 돌봄전담사 1만2천여명 중 6천여명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인천에서는 전체 전담사(589명)의 17%인 100여명이 파업에 동참하기로 했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인천지부는 ‘온종일 돌봄 체계 운영·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발의한 더불어민주당 인천시당 당사 앞에서 6일 오전 10시 항의 기자회견을 한 후 세종정부청사로 향할 예정이다.

비정규직노조 인천지부 관계자는 “돌봄교실의 민영화를 초래할 법 철회와 전담사의 전일제 전환 등이 이뤄지지 않고 있어 파업 방침에는 변화가 없다”고 했다.

돌봄 공백이 현실화하자 시교육청은 돌봄이 꼭 필요한 힉생만 나올 수 있게해 돌봄인원을 줄이는 한편 인천지역 초등학교 258곳에 공문을 보내 교육부의 지침대로 4가지 방안을 안내했다.

파업에 참여하지 않은 전담사가 통합해 관리하거나, 교장과 교감이 돌봄교실을 관리하는 방안이다. 또 담임교사 등이 교실과 독서실을 개방해 함께 교육받도록 하거나 인근의 마을돌봄기관을 활용하도록 했다.

학교에서 돌봄파업 소식을 전달받았다는 A씨(46)는 “당장 아이를 맡길 곳이 없는데, 가급적이면 보내지 말라고 하니 답답할 따름”이라며 “전담사들이 힘든 건 잘 알지만, 아이들을 볼모로 잡은 것 같아 기분이 씁쓸하다”고 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최대한 영향이 없도록 어제(4일) 오후 학교에 안내 공문을 보낸 상황”이라며 “아직까지 학교 측에서 불가능하다는 얘기가 없어 사정에 맞게 선택해 운영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했다.

김경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