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가 접경지역에 한국전쟁·분단을 주제로 한 ‘DMZ 기억의 박물관’ 건립을 검토해온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박정 경기도당위원장(재선, 파주을)이 파주 유치의 당위성을 역설하는 등 적극적인 행보에 나섰다. 박정 도당위원장은 국회의 내년도 정부 예산안 심사 과정에서 관련 예산 편성을 강력히 촉구, DMZ 기억의 박물관 건립 사업에 속도를 내겠다는 구상이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여당 간사인 박정 도당위원장은 8일 경기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최근 문체위 예산 당정협의에서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게 DMZ 기억의 박물관 최적지가 파주라는 점과 관련 예산 편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며 “오는 10일 문체위 예산 상정 때도 이 문제를 다시 한 번 질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앞서 문체부는 한국전쟁과 분단의 비극적 역사를 추모하고 DMZ의 과거·미래 가치를 다양한 콘텐츠로 표현하는 DMZ 기억의 박물관 건립을 추진해왔다. 이에 경기도는 지난 4월 공개한 경기연구원의 ‘경기도 DMZ 정책 로드맵’을 통해 DMZ 기억의 박물관 파주 유치 방침을 밝혔고, 파주시 역시 전방위적인 유치전을 다짐했다.
문체부가 지난해 4~12월 ‘DMZ 기억의 박물관 조성 기본구상·타당성 조사’ 연구용역을 발주한 결과, 740억원을 투입해 파주에 DMZ 기억의 박물관을 건립할 경우 B/C 1.12로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이에 박정 도당위원장과 경기도, 파주시는 늦어도 올해 안에는 건립지가 결정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지역 정치권의 이 같은 기대와 달리 사업이 정체되며 결국 관련 예산은 단 한 푼도 반영되지 않았다.
이에 박 도당위원장은 DMZ 기억의 박물관 건립 필요성을 역설하고, 기본계획 수립 등에 필요한 국비 5억원 편성을 촉구하고 있다. 특히 그는 오는 10일 문체위에서 ▲DMZ, 갈등의 과거 ▲한반도 현대의 기억 ▲평화와 미래번영 콘텐츠를 통해 한국전쟁·냉전시대의 상징인 DMZ를 ‘역사적 사건’에서 ‘문화적 기억’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할 계획이다.
박 도당위원장은 “전쟁과 갈등에서 비롯된 DMZ를 문화적 기억으로 전환하면 내·외국인이 모두 찾을 수 있는 매력적인 문화기관이 될 것”이라며 “DMZ 인근 거점 관광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선제적으로 사업을 준비하고 추진해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