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일시 휴직자 2명 중 1명이 해당 기업의 사업 부진이나 조업 중단 때문에 휴직 상태인 것으로 집계됐다.
9일 중소기업연구원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9월 종사자 300인 미만 중소기업의 일시 휴직자는 71만2천명이다. 이 중 사업 부진이나 조업 중단으로 인한 일시 휴직자는 35만7천명으로 50.1%에 달했다.
일시 휴직자는 직업이나 사업체가 있지만 일시적인 병, 휴가ㆍ연가, 일기불순, 노동쟁의, 사업 부진, 조업 중단 등의 사유로 일하지 못하는 경우를 일컫는다. 사유가 해소되면 즉시 복귀 가능해야 한다. 종사자 1~4인 소규모 사업체의 사업 부진이나 조업 중단에 따른 일시 휴직자는 15만4천명으로, 해당 사업체 일시 휴직자의 58.3%를 차지했다. 5~299인 중소기업은 20만2천명으로 45.1%를 기록했다.
그러나 종사자 300인 이상 대기업의 경우 일시 휴직자(7만6천명) 중 해당 사유가 10.5%(8천명)에 그치며 대조된 모습을 보였다.
지난해 9월에는 중소기업의 사업 부진이나 조업 중단에 따른 일시 휴직자는 4만3천명으로 전체 일시 휴직자의 14.1% 수준에 불과했다.
작년과 달리 올해 일시 휴직자가 급격히 증가한 것은 코로나19 사태 때문으로 풀이된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숙박ㆍ음식업과 판매 서비스업 등 대면 업종이 많은 중소기업이 타격을 받으며 직원들이 일시 휴직자로 내몰렸다.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미래전략연구단장은 “자칫 기업이 폐업하면 이들이 실업자가 될 수 있어 일자리 비중이 큰 대면 업종에 대한 지원책 마련해야 한다”며 “고용유지지원금 지원 비중을 67%에서 90%로 다시 상향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수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