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도지사가 10일 정부와 국회에 ‘기본소득 탄소세’ 도입 논의에 나서달라고 촉구했다.
기본소득 탄소세는 화석연료에 부과된 세금 수입을 기본소득 재원으로 사용하는 목적세 성격의 세금으로, 이재명 지사는 탄소세로 얻은 수익을 전 국민에게 지역화폐로 지급해 국가적 경제 대순환을 이루자고 강조했다.
이재명 지사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기후변화에 대응하면서, 각종 경제 문제를 해소하고 경제 대순환의 마중물을 만들 수 있는 정책이 있다면 서둘러 도입을 검토하는 것이 맞다. 그래서 ‘기본소득 탄소세’에 주목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지사는 기본소득 탄소세가 도입돼야 하는 근거 5가지를 제시했다.
먼저 이 지사는 환경 개선 측면에서 “기본소득 탄소세는 화석연료 사용량을 감소시켜 탄소제로에 기여할 수 있다. 탄소배당을 도입한 스위스는 탄소배출량을 1990년 100%에서 2018년 71%까지 감소시켰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산업 분야의 기후변화 대응을 예로 들며 “우리 기업들도 유럽국가들로부터 관세 강화와 수입 거부 등 위반 제재를 피하려면 탄소 감축에 나서야 한다”며 “기본소득 탄소세는 기업의 탄소제로경영 촉매제 역할을 하며 국제경쟁력 확보에 도움을 주고, 기술혁신과 대체에너지 산업 육성 등 미래산업 재편을 촉진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 지사는 기본소득 탄소세가 증세 저항 감소와 소득불평등 완화에 도움을 준다고 주장했다.
그는 “목적세로 탄소세를 도입하고 기본소득 외에 쓸 수 없도록 하면, 세금을 내는 만큼 기본소득으로 100% 돌려받으니 세금 누수의 ‘불신’은 사라지고 증세 저항도 줄어든다”면서 “또 기본소득 탄소세 시행 시, 전체의 70%는 내는 세금보다 받는 기본소득이 더 많아 부의 재분배 역할을 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국가 경제 대순환의 근거를 제시한 이 지사는 “재난기본소득에서 증명됐듯, 기본소득 탄소세를 지역화폐로 전 국민에게 지급하면 골목경제가 살아나고 국가적인 경제 대순환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기본소득 탄소세는 환경과 경제를 살리는 1석 5조 정책이다. 모든 국민이 건강한 환경에서 경제적 기본권을 누리며 살아갈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가 ‘기본소득 탄소세’ 도입 논의에 나서주길 기대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이광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