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공사, 中企와 시각주기유도시스템 국산화 개발 성공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 설치한 국산 시각주기유도시스템 테스트 제품<인천공항공사 제공>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 설치한 국산 시각주기유도시스템 테스트 제품<인천공항공사 제공>

인천국제공항공사가 국내 중소기업과 공동으로 공항운영 핵심장비인 시각주기유도시스템(A-VDGS) 개발해 국산화에 성공했다.

10일 공항공사에 따르면 지난 2012년 10월부터 중소벤처기업부 민·관 공동투자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국내 중소기업 안세기술과 공동으로 시각주기유도시스템 국산화 개발을 추진했고, 2015년 9월 시제품 개발을 완료했다. 이후 5년간 CE 안전 인증과 GS S/W 품질인증, 중소벤처기업부의 EPC 취득 등 성능검증 및 품질향상을 통한 시스템을 고도화했다.

시각주기유도시스템은 항공기가 터미널에 진입해 주기할 때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제공해주는 최첨단 안내 시스템이다. 항공기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기종별로 다른 항공기 좌우편차, 접현시간 및 정지점까지의 거리 등 항공기 주기에 필요한 정보를 계산한다.

공항공사는 이번 국산화 개발을 통해 약 350억원의 비용(외화) 절감 효과를 기대하는 한편, 국산 시스템에서 표출하는 항공기 출발시각, 기상상황 등 운항정보로 공항운영의 효율·안전성이 향상할 것으로 보고 있다.

공항공사는 연내 국산화 시스템 1대를 구매해 제2여객터미널에 설치하고 내년부터 제1여객터미널, 탑승동, 화물터미널 등으로 확대·도입할 방침이다. 또한, 해외공항 건설 및 컨설팅 사업 등 공항공사가 추진하는 해외사업에도 국산 시스템을 활용하는 등 시각주기유도시스템 글로벌시장에 적극 진출할 계획이다.

김필연 공항공사 운항본부장은 “인천공항에 순차적으로 국산 시스템을 도입해 공항 운영 안전성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며 “아울러 해외시장에 진출해 국내 중소기업의 해외 판로 개척을 지원하고 중소기업 동반성장에도 적극 앞장서겠다”고 했다.

이승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