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 정치권 지역 이기주의에서 벗어나야

박남춘 인천시장이 지난달 15일 시민의 날을 맞아 친환경 자원순환정책의 새 역사를 위한 시민공동행동을 발표하면서 쓰레기로부터 인천 독립을 선언했다.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를 실현시키고 발생지 처리 원칙에 충실한 환경 정의 구현과 미래세대에 녹색환경을 물려주기 위한 ‘자원순화 정책 대전환’의 결연함을 천명한 것이다. 이어 지난 12일에는 구체적인 대안으로 인천시의 자체매립지와 소각장 후보지를 발표했다.

매립지와 소각장은 누구나 다 아는 혐오시설로써 내 집 앞에 들어서는 것을 싫어한다. 하지만 어딘가에는 있어야 하는 공공시설이다. 이러한 연유로 지난 30년간 수도권의 쓰레기를 인천이 일방적으로 희생하면서 처리해왔다. 이에 박남춘 인천시장의 이번 발표는 그동안 행정역량의 미비로 손해를 감수했던 쓰레기 정책의 모순을 단절하기 위한 처절한 몸부림이다. 인천시가 앞장서서 매립지와 소각장을 준비하고 차근차근 준비해야 한다. 쓰레기로부터 인천 독립을 위한 출발이면서 서울시와 경기도를 설득하기 위한 실천의 모습이다.

그러나 지역 정치권이 지역이기주의 편승하거나 조장하는 등 인천시의 자원순환 정책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시민들을 의아하게 만들고 있다. 정치권이 나서서 갈등을 조정하는데 앞장서도 부족한 상황인데 자기 지역구를 챙기면서 반대를 위한 반대에 나서는 모습이 안타깝다. 특히 인천 시정부와 같은 여당 국회의원들이 나서서 자기 지역구에 입지하는 것을 반대하는 모습은 인천 지역정치의 낮은 수준을 보여주는 것 같아 실망을 금할 수 없다.

인천의 쓰레기로부터 독립은 대외적으로 넘어야 할 산이 산적하다. 당장 서울시와 경기도를 설득해서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를 이끌어내야 한다. 불합리하게 맺은 2015년 4자협의를 둘러싼 논란을 신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시민과 정치권이 동참해야 한다. 시장이 앞장서지만 시민의 지지가 절대적이며 중앙정부와 협의에서 지역정치권의 역할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경기도가 인천의 쓰레기 독립선언에 부응하는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점을 직시하고 자중지란으로 추진동력을 허비해서는 안 된다. 정치권이 대승적으로 나서서 수도권매립지 사용종료라는 숙원과제를 해결하는데 앞장설 것을 기대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