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원정책 '인천형 바이오산업생태계' 구축

문재인 대통령의 인천 송도국제도시 바이오산업에 대한 지원 약속에 따라 인천시와 바이오기업들도 대규모 투자전략을 짜는 등 인천만의 바이오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18일 시 등에 따르면 이날 송도에서 열린 ‘바이오산업 추진 전략 보고회’에서 총 사업비 3조6천억원을 투입해 2030년까지 바이오 기업 700여개를 유치하는 계획을 내놨다. 이를 통해 17만명의 일자리 창출과 1만5천명의 바이오 전문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시는 인천형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바이오 자원 공유 코디네이션센터 구축, 바이오 창업지원 펀드 조성, 원부자재 국산화 프로젝트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어 송도 11공구에는 기업의 투자 촉진을 통한 바이오산업 혁신성장을 위해 108만㎡ 규모의 바이오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이와 함께 시와 연세대는 2023년까지 송도 국제캠퍼스에 바이오의약품 전문인력 양성센터를 건립하고, 2024년부터 본격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이는 앞으로 연간 2천명의 바이오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시는 이날 연세대학교, 인천테크노파크(인천TP), 삼성바이오, 셀트리온, 정현프랜트, 위아텍 등과 ‘세계 최고 수준 바이오생태계 구축을 위한 협력 양해각서(MOU)’도 했다. 바이오 소재부품장비 기업간 기술자문·실증테스트 등을 협력해 글로벌 수준에 맞는 소부장을 함께 개발하기 위해서다.

이들은 또 개발한 결과물 구매 등도 적극적으로 나선다. 여기에 연세대 국제캠퍼스의 ‘바이오의약품 공정·개발 전문인력 양성센터’를 통해 수요기업들은 교육과정 개발 및 인턴쉽 프로그램 등을 제공 받는다.

이날 삼성바이오는 송도 4공장에 바이오의약품 25만6천ℓ를 생산할 수 있는 설비 건립에 1조7천억원의 투자 계획을 밝혔고, 셀트리온도 대규모 연구센터와 다양한 품종 생산을 위한 3공장 건립(6만ℓ 규모)에 총 5천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대규모 투자, 신규 고용으로 우리 바이오산업에 큰 공헌을 하는 양 기업에 감사하다”며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이승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