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대장동 소각장 광역화 철회 요구 국민청원까지 접수

부천 대장동 자원순환센터(소각장) 광역화계획에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지는 가운데 소각장 광역화 철회를 요구하는 국민청원이 접수되는 등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부천 대장동 소각장 광역화는 부천시와 인천시, 서울 강서구 등이 그동안 수차례 협상을 진행, 다음달 11일 협약식을 열기로 한 사실이 알려지자 부천 정치권과 주민들의 강력한 반발로 지역사회 최대 이슈로 부상했다.

 

시는 최근 오정어울마당 4층 회의실에서 시 관계자와 주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열엇다. 이 자리에서 엄기철 오정동 주민자치회장과 장경화 간사 등 오정동 주민들은 주민들의 의견 수렴없는 일방통행식 청소행정에 일제히 반대 목소리를 내며 반발 수위를 높였다.

 

앞서 지난 16일 주민들에게 설명이나 계획, 동의절차 없이 대장동 소각장을 증축하고 광역화를 추진하는 부천시의 불통 문제와 광역소각장의 심각성을 알리는 청와대 국민청원까지 접수됐다.

 

청원서는 “소각장 광역화가 되면 대장동 소각장 규모가 3배가량 더 확대돼 부천 전체의 심각한 환경오염을 발생시키고 대장신도시 이미지 실추와 개인의 재산권 침해가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특히 “부천시는 시민들과 먼저 소통하고 결정했어야 하지만 이를 무시하고 눈앞의 작은 이익만을 생각하고 부천 시민들을 위한 대책은 실종됐다”면서 “대장동 소각장의 광역화는 반드시 철회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결국 대장동 소각장 광역화가 수도권 쓰레기매립장 2025년 폐쇄와 대장동 신도시 건설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향후 어떤 해법이 나올지 주목된다.

 

시는 소각장 지하화를 통한 악취 차단과 대기오염 최소화, 지상의 공원 등 휴식편의시설계획 등의 대책과 입지선정위 등을 구성해 시민과 협의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주민들의 반발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시는 부천소각장의 하루 처리규모는 300t을 900t(부천 470t, 인천 300t, 강서구 130t)로 늘린다는 광역화계획을 세우고 있다. 부천=오세광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