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액 신용대출 막힌다… ‘소득 무관’ 규제까지 등장

은행권이 1억원을 웃돌거나 연소득의 200%를 초과하는 신용대출을 본격적으로 막는다. 정부 규제에 앞서 은행들이 스스로 ‘조이기’에 나선 것이다.

22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23일부터 1억원이 넘는 신용대출, 연소득의 200%를 초과한 신용대출에 대한 심사를 대폭 강화한다.

구체적으로 신용대출이 1억원(KB국민은행과 타행 신용대출 합산)을 넘는 차주(돈을 빌리는 사람)에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40% 이내’ 규제를 적용한다. 소득과 관계없이 신용대출이 1억원을 넘어서면 규제를 적용할 방침이다.

DSR은 주택담보대출뿐 아니라 신용대출과 카드론 등 모든 가계대출 원리금 상환액을 연간 소득으로 나눈 값으로, 소득 대비 대출 부담 수준을 나타낸다.

NH농협은행도 DSR 규제는 아니지만 잇따라 대출 한도와 우대금리를 줄이는 방법으로 신용대출을 억제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1억원 초과 신용대출에 대한 규제를 실행할 예정이다.

이처럼 은행들이 당국 규제보다 앞서 신용대출을 강하게 막는 것은 당국의 신용대출 규제 발표 이후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 막차’를 타려는 가(假)수요 신용대출이 크게 늘면서 연말까지 올해 대출 총량 목표를 지키지 못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앞서 금융당국은 지난 13일 연소득 8천만원이 넘는 고소득자의 1억원 초과 신용대출에 대한 ‘DSR 40%’ 규제를 30일부터 실행한다고 예고한 바 있다.

한편 각 은행의 신용대출 실적 통계를 보면, KB국민ㆍ신한ㆍ하나ㆍ우리ㆍNH농협 5대 은행의 신용대출 잔액은 19일 기준 131조354억원이다. 이는 규제 발표 전(12일) 129조5천53억원과 비교해 불과 7일만에 1조5천301억원이나 불어난 것이다.

김태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